인천제철의 현대 계열분리가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29%의 최대지분을 가진 채권단을 단일 주주로 볼 수 없어 주식분산요건이 충족되지 않았다며 이 회사의 계열분리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 이 때문에 빠르면 이달말 늦어도 오는 5월까지는 계열분리가 이뤄질 것으로 낙관하면서 승인결정만 기다리고 있던 인천제철과 현대 구조조정위원회는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있다.

공정위는 인천제철 채권단이 단일 주주가 아닌데다 지분소유목적도 채권확보에 있기 때문에 현재 14.1%의 지분을 갖고 있는 현대측이 여전히 최대주주로 실질적인 지배력을 갖고 있다며 이 회사의 계열분리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인천제철 채권단은 19개 금융기관으로 구성돼있으며 이중 산업은행이 자회사인 산은캐피탈 지분(3.3%)을 포함,가장 많은 11.6%의 가장 많은 지분을 갖고 있다.

공정위는 현재 각각 4.7%의 지분을 갖고 있는 현대전자 현대자동차 정몽구 현대차회장 등 현대측의 3대 대주주 어느 한쪽의 지분을 줄여 전체지분을 산업은행측보다 낮은 9.4% 수준으로 줄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사자인 인천제철과 구조조정위원회는 지분해소방안을 강구중이나 여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어 난감해하고 있다.

현재의 주가수준이 워낙 낮아 장부가격을 크게 밑돌고 있어 현대측 대주주 어느 쪽이든 장내 또는 장외에서 매각할 경우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것. 구조조정위는 인천제철 이사진 10명중 채권단이 현대쪽보다 1명 많은 5명의 이사를 두고 있어 경영권에 더 많은 영향력을 갖고 있다는 점 등을 들어 공정위에 "재고"를 요청하고 있으나 성사가능성이 높지 않아 고심중이다.

현대 한 관계자는 "증권시장 상황이 호전되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인천제철을 일단 오는 6월말 현대에서 분리되는 자동차 소그룹에 포함시켜 계열분리시키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이 방식도 계열분리이기는 하지만 계열에서 완전히 분리시킨다는 당초의 "약속"과는 거리가 있는데다 정부와 채권단이 받아들일 지도 미지수여서 고심중"이라고 말했다.

문희수 기자 mhs@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