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과 현대그룹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은 26일 증시에 퍼진 현대그룹의 유동성 위기설은 근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외환은행의 현대 여신담당자는 "현대가 전 금융회사에서 받아놓은 당좌대출한도가 2조원인데 지난달말 현재 3천8백억원 밖에 쓰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현대의 전체부채 34조원중 초단기부채인 기업어음(CP)은 3조~4조원 밖에 안된다고 설명했다.

현대는 대우와 달리 해외에 물린 부실채권도 별로 없다는 것이다.

금감원도 이날 모든 채널을 동원해 현대 루머의 진위파악에 나섰으나 유동성 문제를 초래할 어떤 징후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최근 금융시장 상황이 안좋은 터라 이용근 금감위원장 이하 간부들도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

관계자는 "금융거래에 아무 이상이 없는데 최근 재벌개혁 분위기 등 주변상황이 공교롭게 안좋은 쪽으로만 해석된 탓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현대관련 루머의 원인으로 <>공적자금 투입대상에서 현대투신 제외 <>투신 펀드 종목당 투자한도 축소 <>참여연대의 바이코리아 부당행위 발표 <>정부의 재벌개혁 분위기 등을 꼽았다.

오형규 기자 ohk@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