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 산하 경제사회연구회가 14개 정부출연 경제분야 연구기관들의 지난해 연구실적 및 경영내용 평가결과를 발표하자 하위권에 속한 연구기관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 한경 4월27일자 1,3면 참조 ]

종합 13위에 그친 산업연구원(KIET)은 지난 27일 평가시스템의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구하는 내용의 의견서를 국무조정실 기획예산처 경제사회연구회 등에 제출했다.

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국토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10~14위까지 하위권에 든 연구원들도 평가결과를 정밀 검토중이며 다음주께 의견서를 보낼 예정이다.

KIET측은 의견서에서 <>대정부 자문실적이 반영되지 않은 점 <>항목당 가중치 비중이 적합지 않은 점 <>경영개선 여부를 노조의 유무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측정한 점 등을 들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KIET측은 연구 및 용역수주 실적으로는 자신들이 2위라고 주장했다.

최하위를 기록한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전문성 평가항목의 비중이 지나치게 낮고 계량화할 수 없는 항목들도 많아 평가위원들의 자의적 해석이 많았다"고 항변했다.

에경연측은 다음주 화요일께 의견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평가를 주관한 경제사회연구회측은 연구원들의 반발에 대해 "한마디로 어불성설"이라고 잘라 말했다.

평가관리팀 관계자는 "지난해 두차례에 걸쳐 각 연구기관의 연구조정실장들과 함께 평가시스템을 검토하는 절차를 거쳤다"면서 "특히 연구기관의 특성에 맞게 평가비중을 자체적으로 일부 조정할 수 있는 권한까지 줬는데 이제 와서 순위가 낮다고 항변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박해영 기자 bono@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