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신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를 폐지하거나 축소할 경우 한국 배터리 산업의 기대이익 상실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왔다.산업연구원은 24일 발표한 '글로벌 산업통상 정책 변화에 따른 한국 배터리 산업 영향과 대응 전략' 보고서에서 이렇게 분석했다.보고서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도입된 IRA 덕분에 미국 시장에서 한국 배터리 판매가 26%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했다.산업연구권은 IRA 세액공제 제도로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 판매량 증가에 끼친 영향을 추정하고, 다시 구매세액공제가 한국산 배터리 판매량에 주는 탄력성을 계산했다. IRA로 인한 한국산 차량의 미국 판매량 증가 수준은 24.1%, 이에 따른 'K배터리' 판매량은 1.0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IRA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가 특히 한국 배터리 기업의 영업이익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AMPC로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등의 여파로 실적 부진을 겪는 한국 배터리 기업이 가까스로 '흑자 방어'를 하는 데 기여한 측면이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2024년 2분기 기준 한국 배터리 3사의 합산 영업이익은 154억 원이었다. 이는 해당 분기에만 5000억 원(배터리 3사 합산)이 넘는 AMPC 덕분이었다는 게 산업연의 설명이다.그러나 이런 효과는 트럼프 2기 정부 들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 20일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폐기하겠다고 밝혔고, IRA 세액공제도 폐지하거나 축소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황경인 산업연 대외협력실장은 "IRA 세액공제 제도가 후퇴하면 우리 배터리 산업에는 확실히 악재
드론 전문 기업 에이럭스(대표 이치헌)가 해양드론기술과 국내 드론 생태계 확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에이럭스는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활용도가 뛰어난 경량드론을 주력으로 하는 업체다. 다수의 드론 양산 경험과 FC(Flight Controller) 자체 개발을 통해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완제품 외 개별 핵심 부품 사업을 통해 영역 확장을 진행 중이다.이번 MOU는 안정적인 국산 부품 조달과 생산 협력 체계가 필요한 해양드론기술의 상황과 잘 맞아 떨어졌다. 양사는 산업 자립성 강화로 경쟁력 있는 드론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로 뭉쳤다.2019년 시장에 진출한 에이럭스는 국제 드론 시장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미·중 갈등으로 중국산 드론을 대체할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어서다. 미국은 중국산 드론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2021년 12월 중국 드론 기업을 투자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올해에는 일부 제품의 수입을 중단하거나 미국 통신 기반 시설에서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에이럭스는 2022년 첫 제품 출시 후 지난해 말까지&n
기아가 사상 첫 연간 기준 매출 100조원 시대를 열었다. 선진 시장인 북미 지역에서의 호황과 고부가가치 차량인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량 증가 등에 힘입어 호실적을 올렸다.기아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07조4488억원, 영업이익 12조6671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종전 최대 실적이던 지난해 매출 99조8084억원, 영업이익 11조6079억원보다 각각 7.8%, 9.1%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률도 11.8%로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기아는 지난해 창사 이래 최고 수준인 308만9300대를 판매했다. SUV를 중심으로 하이브리드 모델 등 고부가가치 차량이 북미 등 선진 시장에서 잘 팔린 게 실적을 견인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4분기 갑작스럽게 증가한 원·달러 환율로 인센티브 및 판매보증 충당 비용의 원화 환산 금액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적 하락이 제한적이었다는 분석이다.기아는 "확고한 상품 경쟁력으로 북미와 신흥 시장에서 판매 대수가 증가했고, 다각화된 파워트레인 경쟁력과 차별화된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이익 성장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4분기에 인센티브 및 기타 비용이 다소 늘어났지만, 본원적 경쟁력에 따른 판매 호조 및 환율 효과로 이를 상쇄했다"고 설명했다.기아는 올해 지난해보다 증가한 321만6000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또 매출 112조5000억원, 영업이익 12조4000억원, 영업이익률 11%를 목표로 잡았다. 기아는 도매판매가 지난해와 비교해 4.1%, 매출은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기아는 북미와 유럽 등지에선 하이브리드·전기차 등 친환경 차 판매를 지속해서 늘릴 계획이다. 신차로는 기아의 첫 픽업트럭인 타스만, 인도 전략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