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민영화 늦어질듯 .. 증시침체로 주식매각 차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시여건이 좋지 않아 한국담배인삼공사 한국중공업 한국통신 등 공기업 민영화가 당초 일정보다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공기업 민영화로 올해 3조5천억원의 재정수입을 올리겠다는 정부 목표 달성도 현실적으로 어렵게 됐다.
8일 재정경제부 등 관계당국에 따르면 한국담배인삼공사의 경우 올해안에 정부및 관련기관 주식 80%를 매각해 완전 민영화한다는 계획이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태다.
현재 담배인삼공사 주식 지분은 재경부 13.8%, 기업은행 32.4%, 산업은행 8.1%, 수출입은행 11.3%, 서울은행 4.1%, 대한투신 5.6%, 예금보험공사 5.0% 등 실제 정부통제하에 있는 주식이 80.3%이며 일반인은 19.7%를 갖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는 "올 상반기중에 정부지분 13.8%를 해외 주식예탁증서(DR) 발행 형식으로 매각할 예정이었으나 해외 시장여건이 여의치 않아 불가능해졌다"면서 "산업은행 등 정부통제하에 있는 기관주식들의 국내매각도 주식시장 여건과 매각물량 등을 감안하면 올해안에 끝내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국통신의 경우 정부지분 58.99%를 올해안에 33.4%로 낮춘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으나 주가가 대폭 오르지 않는다면 목표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에 민영화를 완료할 예정이었던 포항제철은 상반기중에 산업은행이 갖고있는 지분 9.84%를 DR 발행 등으로 매각키로 했으나 주가가 정부가 생각하고 있는 주당 15만원에 훨씬 못미치는 9만원대에 머물고 있어 목표달성이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가스공사는 정부지분 축소차원에서 올 하반기중에 1천3백억원의 유상증자에 나설 예정이나 역시 증시 침체로 내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중공업 민영화를 위한 기업공개도 오는 9월말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강현철 기자 hckang@ked.co.kr
공기업 민영화로 올해 3조5천억원의 재정수입을 올리겠다는 정부 목표 달성도 현실적으로 어렵게 됐다.
8일 재정경제부 등 관계당국에 따르면 한국담배인삼공사의 경우 올해안에 정부및 관련기관 주식 80%를 매각해 완전 민영화한다는 계획이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태다.
현재 담배인삼공사 주식 지분은 재경부 13.8%, 기업은행 32.4%, 산업은행 8.1%, 수출입은행 11.3%, 서울은행 4.1%, 대한투신 5.6%, 예금보험공사 5.0% 등 실제 정부통제하에 있는 주식이 80.3%이며 일반인은 19.7%를 갖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는 "올 상반기중에 정부지분 13.8%를 해외 주식예탁증서(DR) 발행 형식으로 매각할 예정이었으나 해외 시장여건이 여의치 않아 불가능해졌다"면서 "산업은행 등 정부통제하에 있는 기관주식들의 국내매각도 주식시장 여건과 매각물량 등을 감안하면 올해안에 끝내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국통신의 경우 정부지분 58.99%를 올해안에 33.4%로 낮춘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으나 주가가 대폭 오르지 않는다면 목표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에 민영화를 완료할 예정이었던 포항제철은 상반기중에 산업은행이 갖고있는 지분 9.84%를 DR 발행 등으로 매각키로 했으나 주가가 정부가 생각하고 있는 주당 15만원에 훨씬 못미치는 9만원대에 머물고 있어 목표달성이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가스공사는 정부지분 축소차원에서 올 하반기중에 1천3백억원의 유상증자에 나설 예정이나 역시 증시 침체로 내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중공업 민영화를 위한 기업공개도 오는 9월말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강현철 기자 hckang@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