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물량 우선공급, 나머지 일반 분양방식 일반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전체 공급물량의 일부를 조합아파트로 공급하고 나머지를 일반분양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과거에는 조합원을 모집하지 못한 소량의 잔여가구를 일반분양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요즘엔 조합아파트로 전체 물량의 40~50%를 우선 공급하고 나머지 중.대형 평형에 대해서 일반에 분양하는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런 분양방법은 지난 3월 건설교통부가 주택건설촉진법 시행령을 개정한 후 조합아파트 조합원 자격요건이 완화되면서 사업승인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택지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은 강서구 등촌동 수도통합병원부지에 짓는 아파트 1천3백78가구 중 34평형 6백16가구에 대한 조합원을 모집중이다.
잔여물량인 48~68평형 7백62가구는 오는 9월 일반에 공급하기로 했다.
또 경기도 용인시 죽전지구에서도 1천4백69가구(34평형 단일평형)중 1천54가구는 이미 조합원 모집을 마쳤고 나머지는 올 하반기에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현대건설도 용인 죽전지구 3,4,6차분 아파트 3천3백32가구 중 1천5백08가구를 조합아파트로 5월중 우선 공급한후 하반기에 나머지 물량(1천8백24가구)을 일반분양한다.
롯데건설은 강서구 화공동에 지을 "우장산 롯데 낙천대"아파트 1천1백64가구 중4백11가구(35평형)에 대한 조합원 모집을 마친데 이어 나머지 47~69평형 7백53가구를 올 하반기에 일반분양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이밖에 용인 기흥읍 신갈리에서도 한신공영이 35~48평형 3백67가구에 대해 이같은 방식의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108가구에 대한 조합원을 모집중이며 5월말 일반분양을 실시한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조합원을 우선 모집해 땅값에 대한 금융비용을 줄이고 실수요자를 확보하면 사업의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다"며 "사업승인을 받기 쉬운 택지의 경우 이같은 방식의 분양이 일반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시훈 기자 bada@ked.co.kr
과거에는 조합원을 모집하지 못한 소량의 잔여가구를 일반분양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요즘엔 조합아파트로 전체 물량의 40~50%를 우선 공급하고 나머지 중.대형 평형에 대해서 일반에 분양하는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런 분양방법은 지난 3월 건설교통부가 주택건설촉진법 시행령을 개정한 후 조합아파트 조합원 자격요건이 완화되면서 사업승인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택지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은 강서구 등촌동 수도통합병원부지에 짓는 아파트 1천3백78가구 중 34평형 6백16가구에 대한 조합원을 모집중이다.
잔여물량인 48~68평형 7백62가구는 오는 9월 일반에 공급하기로 했다.
또 경기도 용인시 죽전지구에서도 1천4백69가구(34평형 단일평형)중 1천54가구는 이미 조합원 모집을 마쳤고 나머지는 올 하반기에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현대건설도 용인 죽전지구 3,4,6차분 아파트 3천3백32가구 중 1천5백08가구를 조합아파트로 5월중 우선 공급한후 하반기에 나머지 물량(1천8백24가구)을 일반분양한다.
롯데건설은 강서구 화공동에 지을 "우장산 롯데 낙천대"아파트 1천1백64가구 중4백11가구(35평형)에 대한 조합원 모집을 마친데 이어 나머지 47~69평형 7백53가구를 올 하반기에 일반분양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이밖에 용인 기흥읍 신갈리에서도 한신공영이 35~48평형 3백67가구에 대해 이같은 방식의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108가구에 대한 조합원을 모집중이며 5월말 일반분양을 실시한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조합원을 우선 모집해 땅값에 대한 금융비용을 줄이고 실수요자를 확보하면 사업의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다"며 "사업승인을 받기 쉬운 택지의 경우 이같은 방식의 분양이 일반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시훈 기자 bada@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