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실무절차합의 서명...취재단 50여명등확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한이 18일 5차 준비접촉에서 실무절차합의서에 서명함으로써 정상회담을 위한 기본틀이 마련됐다.
남북 양측이 막판까지 양보와 타협의 정신을 견지한 결과다.
특히 최대 난제였던 의제표현 및 기자단 규모에 대해서도 양측히 한발씩 양보하고 절충함으로써 화해의 분위기가 정상회담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타결된 실무절차 합의서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회담형식과 의제다.
양측은 우선 상봉 및 회담형식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 회담주체를 명시, 김 위원장과는 상봉만 하는 것 아니냐는 항간의 우려를 털어냈다.
회담횟수를 최소 2~3차례로 정하고 필요에 따라 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북 정상간 논의의 기회를 최대한 보장한 것도 성과다.
쌍방의 최고 당국자가 단순한 만남의 차원을 넘어 현안을 깊이 논의해 실질적인 남북관계 진전의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의제는 포괄적으로 설정됐다.
분단후 정상간의 첫 만남인 만큼 서로 할말이 많고 다양하기 때문이다.
7.4 남북공동성명에서 천명된 조국통일 3대원칙을 재확인하는 것은 북측의 주장을 반영한 것이다.
남측은 베를린 선언에서 제기한 "민족의 화해와 단합, 교류와 협력, 평화와 통일을 실현하는 문제"를 의제에 담았다.
김 대통령을 비롯한 남측 대표단이 육로와 공로를 함께 이용키로 한 점도 주목된다.
항공편으로 갈 경우 남측 비행기로, 육로로 갈 경우에는 북측 자동차를 이용키로 해 남측 비행기가 북한 상공을 날 수 있게 됐다.
남북간에 육.해.공로가 모두 열리는 것이다.
판문점이 남북한 대화 및 교류의 관문역할을 되찾게 된 것도 수확이다.
선발대의 활동범위와 방북기간도 눈에 띈다.
우선 선발대는 대표단 방북 3일전 25명 파견에 합의했던 94년과 달리 대표단 방북 12일전에 30명이 판문점을 통해 방북키로 했다.
충분하고 빈틈없는 사전 준비를 위해서다.
이들은 회담때까지 평양에 머물면서 현장답사와 사전점검, 대표단의 체류일정 협의 등을 맡게 된다.
분단 사상 처음으로 남북간에 위성통신망도 구성.운영된다.
김 대통령의 방북기간중 서울과의 연락을 위해 기존의 서울-평양간 직통전화를 재가동하는 외에 위성통신망을 운영키로 한 것.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빈틈이 없도록 국가지도통신망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또 정상회담 관련 행사를 텔레비전으로 실황중계키로 한 점도 고무적이다.
특히 남측 인원과 장비로 직접 촬영.제작한 방송을 북측의 협조를 얻어 위성을 이용, 서울로 보냄으로써 남북한 방송협력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전망이다.
TV 생중계를 위한 위성방송용 장비인 SNG 반입문제는 추후 계속 협의키로 했다.
다만 대표단 수는 94년보다 30명 늘린 반면 북측의 끈질긴 요구로 취재기자단 수를 94년(80명)에 비해 훨씬 적은 50명으로 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서화동 기자 fireboy@ked.co.kr
남북 양측이 막판까지 양보와 타협의 정신을 견지한 결과다.
특히 최대 난제였던 의제표현 및 기자단 규모에 대해서도 양측히 한발씩 양보하고 절충함으로써 화해의 분위기가 정상회담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타결된 실무절차 합의서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회담형식과 의제다.
양측은 우선 상봉 및 회담형식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 회담주체를 명시, 김 위원장과는 상봉만 하는 것 아니냐는 항간의 우려를 털어냈다.
회담횟수를 최소 2~3차례로 정하고 필요에 따라 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북 정상간 논의의 기회를 최대한 보장한 것도 성과다.
쌍방의 최고 당국자가 단순한 만남의 차원을 넘어 현안을 깊이 논의해 실질적인 남북관계 진전의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의제는 포괄적으로 설정됐다.
분단후 정상간의 첫 만남인 만큼 서로 할말이 많고 다양하기 때문이다.
7.4 남북공동성명에서 천명된 조국통일 3대원칙을 재확인하는 것은 북측의 주장을 반영한 것이다.
남측은 베를린 선언에서 제기한 "민족의 화해와 단합, 교류와 협력, 평화와 통일을 실현하는 문제"를 의제에 담았다.
김 대통령을 비롯한 남측 대표단이 육로와 공로를 함께 이용키로 한 점도 주목된다.
항공편으로 갈 경우 남측 비행기로, 육로로 갈 경우에는 북측 자동차를 이용키로 해 남측 비행기가 북한 상공을 날 수 있게 됐다.
남북간에 육.해.공로가 모두 열리는 것이다.
판문점이 남북한 대화 및 교류의 관문역할을 되찾게 된 것도 수확이다.
선발대의 활동범위와 방북기간도 눈에 띈다.
우선 선발대는 대표단 방북 3일전 25명 파견에 합의했던 94년과 달리 대표단 방북 12일전에 30명이 판문점을 통해 방북키로 했다.
충분하고 빈틈없는 사전 준비를 위해서다.
이들은 회담때까지 평양에 머물면서 현장답사와 사전점검, 대표단의 체류일정 협의 등을 맡게 된다.
분단 사상 처음으로 남북간에 위성통신망도 구성.운영된다.
김 대통령의 방북기간중 서울과의 연락을 위해 기존의 서울-평양간 직통전화를 재가동하는 외에 위성통신망을 운영키로 한 것.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빈틈이 없도록 국가지도통신망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또 정상회담 관련 행사를 텔레비전으로 실황중계키로 한 점도 고무적이다.
특히 남측 인원과 장비로 직접 촬영.제작한 방송을 북측의 협조를 얻어 위성을 이용, 서울로 보냄으로써 남북한 방송협력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전망이다.
TV 생중계를 위한 위성방송용 장비인 SNG 반입문제는 추후 계속 협의키로 했다.
다만 대표단 수는 94년보다 30명 늘린 반면 북측의 끈질긴 요구로 취재기자단 수를 94년(80명)에 비해 훨씬 적은 50명으로 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서화동 기자 fireboy@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