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총리 '이한동씨'] '金대통령 총리지명 안팎'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대중 대통령이 22일 정권 출범 이후 세번째 총리로 이한동 자민련 총재를 지명한 것은 공동정부를 출범시킨 당초의 공조정신을 존중하고 민주당-자민련간 공조를 복원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실 여권은 그동안 자민련과의 공조복원을 위해서 많은 정성을 들여왔다.
자민련이 총선과정에서 "더 이상의 공조는 없다"고 선언했을 때마저 청와대와 민주당은 "선거공조는 깨졌지만 정책공조는 유지할것"이라고 말해왔다.
그 연결고리로 박태준 전 총리가 자민련 몫의 총리를 맡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이번 "이한동 카드"는 김 대통령의 임기 후반 국정운영에 상당한 힘을 보탤 수 있는 모양새를 갖춘 셈이다.
여권에서는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가 이 총리를 추천한 것에 상당한 의미를 두고 있다.
한광옥 청와대 비서실장이 "이 총재를 총리에 지명한 것은 국민의 정부 출범과 그후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발휘된 공동정부 정신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유난히 강조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총리 지명의 또다른 의미는 김 대통령의 집권 중.후반기를 맞아 다소 이완된 국정분위기를 다잡고 여소야대로 초래된 정국을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확실히 한 것으로 보인다.
여권은 이런 맥락에서 호남지역의 무소속 출신 16대 당선자 4명을 영입하고,무소속의 정몽준 의원에 대한 영입교섭을 벌이고 있다.
국회 내에서 경제현안과 민생법안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이라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다.
김 대통령은 이 총리 지명자가 내무부장관과 집권당 원내총무,사무총장등을 역임한 것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이 총리 지명자가 조직관리능력과 내각에 대한 통솔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한국당과 한나라당 대표를 역임, 야당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게 청와대측의 설명이다.
여권은 이 총리 지명자가 국민의 화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부권 출신인 그가 이번 총선에서 드러난 지역감정을 누구러뜨릴 수 있는 "장점"을 지녔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공동여당간 공조복원 노력과 무소속 영입등이 정국안정으로 이어지기에는 아직도 넘어야 한 산이 많다.
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
사실 여권은 그동안 자민련과의 공조복원을 위해서 많은 정성을 들여왔다.
자민련이 총선과정에서 "더 이상의 공조는 없다"고 선언했을 때마저 청와대와 민주당은 "선거공조는 깨졌지만 정책공조는 유지할것"이라고 말해왔다.
그 연결고리로 박태준 전 총리가 자민련 몫의 총리를 맡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이번 "이한동 카드"는 김 대통령의 임기 후반 국정운영에 상당한 힘을 보탤 수 있는 모양새를 갖춘 셈이다.
여권에서는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가 이 총리를 추천한 것에 상당한 의미를 두고 있다.
한광옥 청와대 비서실장이 "이 총재를 총리에 지명한 것은 국민의 정부 출범과 그후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발휘된 공동정부 정신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유난히 강조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총리 지명의 또다른 의미는 김 대통령의 집권 중.후반기를 맞아 다소 이완된 국정분위기를 다잡고 여소야대로 초래된 정국을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확실히 한 것으로 보인다.
여권은 이런 맥락에서 호남지역의 무소속 출신 16대 당선자 4명을 영입하고,무소속의 정몽준 의원에 대한 영입교섭을 벌이고 있다.
국회 내에서 경제현안과 민생법안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이라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다.
김 대통령은 이 총리 지명자가 내무부장관과 집권당 원내총무,사무총장등을 역임한 것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이 총리 지명자가 조직관리능력과 내각에 대한 통솔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한국당과 한나라당 대표를 역임, 야당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게 청와대측의 설명이다.
여권은 이 총리 지명자가 국민의 화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부권 출신인 그가 이번 총선에서 드러난 지역감정을 누구러뜨릴 수 있는 "장점"을 지녔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공동여당간 공조복원 노력과 무소속 영입등이 정국안정으로 이어지기에는 아직도 넘어야 한 산이 많다.
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