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붙는 '인위적 정계개편' .. '相剋정치' 돌아가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야는 23일 자민련 이한동 총재의 총리 지명과 호남 무소속 4인의 민주당 입당 등을 놓고 인위적 정계개편 공방을 펼쳤다.
민주당은 자민련과의 공조는 대국민 약속이라는 점을 부각시킨후 "한나라당 의원 빼가기" 등 인위적 정계개편은 않겠다고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총선결과 나타난 "여소야대(與小野大)" 구도를 공조복원을 통해 "여대야소"로 바꾸려는 것은 국민을 기만한 것이라며 좌시하지 않겠다고 맞섰다.
이에 따라 정계개편 여부를 둘러싼 여야간 첨예한 대립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민주당 김옥두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자청, "(대화와 협력의 정치를 한다는) 김대중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간 영수회담의 약속은 반드시 지켜질 것이며 인위적인 정계개편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공동정권은 국민에게 약속한 사안이며 공조를 지킬 의무가 있다"며 자민련과의 공조복원 입장을 명확히 한뒤 "국민을 위한다는 차원에서 공조복원을 한 것인데 왜 기만이냐"고 반문했다.
김 총장은 한나라당측 고위 관계자에게도 전화를 걸어 이같은 여권의 뜻을 전달하는 등 적극적인 화해 제스처를 보였다.
이 총재의 총리지명을 계기로 자민련과의 공조복원을 추진하면서도 대야관계를 대화와 협력으로 풀어나가는 등 정국주도권을 유지하기위한 "양동작전"에 나선 셈이다.
정동영 대변인도 "대화정치를 깰 이유도 의사도 없으며 한나라당을 대화 상대로 삼아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한나라당 달래기에 적극 나섰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기자회견을 통해 "DJP 공조복원으로 여소야대를 바꾸겠다는 것은 상극(相剋)의 정치로 돌아가려는 것"이라며 "여소야대를 깨는 등 순리에 반한 정치와 과거로의 회귀는 좌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는 공조복원을 "국민 기만",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 규정한뒤 "이한동 총리지명자의 경우도 능력과 인품은 인정하지만 정치적으로는 자격이 의심스럽다"고 주장하는 등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이어 "상생의 정치를 우리 스스로가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며 이는 결국 대통령과 여권의 손에 달렸다"며 정계개편 시도가 계속될 경우 강력한 대여투쟁에 나설 방침임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정치적 탕아가 성공하는 세태에서 젊은이들은 무엇을 배우겠느냐"(권철현 대변인), "이한동 총리서리는 원조보수가 아니라 원조 정치철새이며, 김종필 명예총재는 정치 9단이라기보다는 정치 구미호로 부르는 편이 낫다"(장광근 부대변인)는 등 여당과 자민련을 싸잡아 원색적인 공세를 퍼부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민주당은 자민련과의 공조는 대국민 약속이라는 점을 부각시킨후 "한나라당 의원 빼가기" 등 인위적 정계개편은 않겠다고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총선결과 나타난 "여소야대(與小野大)" 구도를 공조복원을 통해 "여대야소"로 바꾸려는 것은 국민을 기만한 것이라며 좌시하지 않겠다고 맞섰다.
이에 따라 정계개편 여부를 둘러싼 여야간 첨예한 대립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민주당 김옥두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자청, "(대화와 협력의 정치를 한다는) 김대중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간 영수회담의 약속은 반드시 지켜질 것이며 인위적인 정계개편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공동정권은 국민에게 약속한 사안이며 공조를 지킬 의무가 있다"며 자민련과의 공조복원 입장을 명확히 한뒤 "국민을 위한다는 차원에서 공조복원을 한 것인데 왜 기만이냐"고 반문했다.
김 총장은 한나라당측 고위 관계자에게도 전화를 걸어 이같은 여권의 뜻을 전달하는 등 적극적인 화해 제스처를 보였다.
이 총재의 총리지명을 계기로 자민련과의 공조복원을 추진하면서도 대야관계를 대화와 협력으로 풀어나가는 등 정국주도권을 유지하기위한 "양동작전"에 나선 셈이다.
정동영 대변인도 "대화정치를 깰 이유도 의사도 없으며 한나라당을 대화 상대로 삼아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한나라당 달래기에 적극 나섰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기자회견을 통해 "DJP 공조복원으로 여소야대를 바꾸겠다는 것은 상극(相剋)의 정치로 돌아가려는 것"이라며 "여소야대를 깨는 등 순리에 반한 정치와 과거로의 회귀는 좌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는 공조복원을 "국민 기만",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 규정한뒤 "이한동 총리지명자의 경우도 능력과 인품은 인정하지만 정치적으로는 자격이 의심스럽다"고 주장하는 등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이어 "상생의 정치를 우리 스스로가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며 이는 결국 대통령과 여권의 손에 달렸다"며 정계개편 시도가 계속될 경우 강력한 대여투쟁에 나설 방침임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정치적 탕아가 성공하는 세태에서 젊은이들은 무엇을 배우겠느냐"(권철현 대변인), "이한동 총리서리는 원조보수가 아니라 원조 정치철새이며, 김종필 명예총재는 정치 9단이라기보다는 정치 구미호로 부르는 편이 낫다"(장광근 부대변인)는 등 여당과 자민련을 싸잡아 원색적인 공세를 퍼부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