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저널] FRB와 '다우 36000'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양봉진 <워싱턴 특파원>
지난 여름,주식시장이 한창 뜨거울 때 미국은 "다우 36,000"이라는 책 때문에 시끄러웠다.
당시 다우지수는 10,000선에 머물고 있었지만 워싱턴 포스트 칼럼니스트 제임스 그래스만과 전 컬럼비아대 교수 케빈 해시트가 공동 집필한 이 책은 지수가 "당장 36,000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금이야말로 주식에 투자해 돈을 벌어야 할 때"라고 부추기기까지 했다.
이들은 미 기업연구소(AEI)의 한 포럼에 나와 "현 시장을 거품이라고 주장하는 일부,특히 앨런 그린스펀 FRB 의장의 경고가 1959부터 시작됐지만 주가는 40년 넘게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다"고 빈정대기도 했다.
이들 주장에 맞장구라도 치려는 듯 미 주식시장은 상당기간 질주를 계속했다.
하지만 과속에 대한 경계음은 여기저기서 울리기 시작했다.
우선 버튼 맬킬 교수는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이들을 "매우 위험한 사람들"이라고 혹평했다.
프랑스 학자 L 바쉬리에가 최초로 발견한 "갈지자운동론"을 자본시장이론에 적극 적용한 공헌으로 독특한 학문적 권위를 누리고 있는 맬킬 교수의 이들 저자에 대한 비판은 상당한 무게를 지니고 있었다.
시장에 대한 경고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로버트 실러는 "비이성적 도취감( Irrational Exuberance )"을 통해 시장의 투기적환상에 대한 경고를 공식화했다.
이 책의 제목은 앨런 그린스펀이 사용해서 유명해진 용어를 그대로 베낀 것이어서 더욱 주목을 받았다.
이어 앤드루 스미더스와 스티픈 라이트 또한 "월 스트리트를 평가한다( Valuing Wall Street )"라는 시장비판서를 내놓았다.
이 두 책은 투자자들이 이른바 "신경제( New Economy )"를 과대평가,신기술( high tech )쪽에 과도한 자금을 몰아줌으로써 이 부문 주식가격을 천정부지로 올려놓았다고 강한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실제 영업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없는데 주가만 오르니 인터넷회사들의 주가수익(P/E)배수가 터무니없는 것은 당연한 이치라는 설명이었다.
나스닥시장의 과열은 숫자로도 증명되는 것이었다.
연초 일부 주식이 일반에게 공개된 팜( Palm )회사의 사례는 대표적인 경우다.
팜은 3 Com 의 자회사다.
당시 3 Com 은 Palm 생산부문을 법인으로 분리,보유주식 일부(5%)를 주당 38달러에 내놓았다.
공개열풍에 편승해 주식값은 상장 첫날 한때 최고 1백65달러까지 올라갔다가 주당 95달러로 마감됐다.
결국 팜의 가치가 5백33억달러나 되는 것으로 평가한 셈이다.
전자수첩을 생산하는 회사를 세계 최대 자동차회사인 GM,미국의 초대형 석유회사인 쉐브론,그리고 맥도널드보다도 큰 회사로 본 것이다.
반면 두 회사의 주가는 모회사의 가치(2백30억달러)가 자회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3 Com 은 자회사인 팜 주식의 거의 전부(94%)를 소유하고 있으므로 최소한 자회사 팜의 시장가치인 5백33억달러보다는 커야 이치에 맞다.
하지만 시장에서 형성된 주가는 이와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시장이 "비이성적"이라고 비판하는 세력에게는 결정적 증거자료가 되 어주 었다.
이를 눈치 채고 발빠른 투자자들은 팜을 내다 팔았다.
팜의 주가는 하루만에 80.25달러로 폭락했다.
공개 당일 1백65달러에 사들인 투자자들은 하루만에 투자금액의 반 이상을 날려버린 셈이다.
FRB는 지난 16일 과속경제에 중징계 티켓을 발부했다.
단기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 것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FRB는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내달 열리는 회의에서도 0.5%포인트를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게 이곳의 전망이다.
막 피부로 감지되기 시작한 인플레심리를 꺾어보자는 데 주목적이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그 직접적 피해는 시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린스펀 맬킬 실러 스미더스 라이트 등이 투기적 환상에 대해 심각한 경고음을 울렸지만 이번 FRB의 금리인상만큼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경고는 되지 못했다.
미국 시장은 이로 인해 이미 적지 않은 몸살을 앓고 있다.
하지만 그 끝이 어딘지 모른다는 데 투자자들의 더 큰 고민이 있다.
http: // bjGlobal.com
지난 여름,주식시장이 한창 뜨거울 때 미국은 "다우 36,000"이라는 책 때문에 시끄러웠다.
당시 다우지수는 10,000선에 머물고 있었지만 워싱턴 포스트 칼럼니스트 제임스 그래스만과 전 컬럼비아대 교수 케빈 해시트가 공동 집필한 이 책은 지수가 "당장 36,000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금이야말로 주식에 투자해 돈을 벌어야 할 때"라고 부추기기까지 했다.
이들은 미 기업연구소(AEI)의 한 포럼에 나와 "현 시장을 거품이라고 주장하는 일부,특히 앨런 그린스펀 FRB 의장의 경고가 1959부터 시작됐지만 주가는 40년 넘게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다"고 빈정대기도 했다.
이들 주장에 맞장구라도 치려는 듯 미 주식시장은 상당기간 질주를 계속했다.
하지만 과속에 대한 경계음은 여기저기서 울리기 시작했다.
우선 버튼 맬킬 교수는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이들을 "매우 위험한 사람들"이라고 혹평했다.
프랑스 학자 L 바쉬리에가 최초로 발견한 "갈지자운동론"을 자본시장이론에 적극 적용한 공헌으로 독특한 학문적 권위를 누리고 있는 맬킬 교수의 이들 저자에 대한 비판은 상당한 무게를 지니고 있었다.
시장에 대한 경고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로버트 실러는 "비이성적 도취감( Irrational Exuberance )"을 통해 시장의 투기적환상에 대한 경고를 공식화했다.
이 책의 제목은 앨런 그린스펀이 사용해서 유명해진 용어를 그대로 베낀 것이어서 더욱 주목을 받았다.
이어 앤드루 스미더스와 스티픈 라이트 또한 "월 스트리트를 평가한다( Valuing Wall Street )"라는 시장비판서를 내놓았다.
이 두 책은 투자자들이 이른바 "신경제( New Economy )"를 과대평가,신기술( high tech )쪽에 과도한 자금을 몰아줌으로써 이 부문 주식가격을 천정부지로 올려놓았다고 강한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실제 영업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없는데 주가만 오르니 인터넷회사들의 주가수익(P/E)배수가 터무니없는 것은 당연한 이치라는 설명이었다.
나스닥시장의 과열은 숫자로도 증명되는 것이었다.
연초 일부 주식이 일반에게 공개된 팜( Palm )회사의 사례는 대표적인 경우다.
팜은 3 Com 의 자회사다.
당시 3 Com 은 Palm 생산부문을 법인으로 분리,보유주식 일부(5%)를 주당 38달러에 내놓았다.
공개열풍에 편승해 주식값은 상장 첫날 한때 최고 1백65달러까지 올라갔다가 주당 95달러로 마감됐다.
결국 팜의 가치가 5백33억달러나 되는 것으로 평가한 셈이다.
전자수첩을 생산하는 회사를 세계 최대 자동차회사인 GM,미국의 초대형 석유회사인 쉐브론,그리고 맥도널드보다도 큰 회사로 본 것이다.
반면 두 회사의 주가는 모회사의 가치(2백30억달러)가 자회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3 Com 은 자회사인 팜 주식의 거의 전부(94%)를 소유하고 있으므로 최소한 자회사 팜의 시장가치인 5백33억달러보다는 커야 이치에 맞다.
하지만 시장에서 형성된 주가는 이와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시장이 "비이성적"이라고 비판하는 세력에게는 결정적 증거자료가 되 어주 었다.
이를 눈치 채고 발빠른 투자자들은 팜을 내다 팔았다.
팜의 주가는 하루만에 80.25달러로 폭락했다.
공개 당일 1백65달러에 사들인 투자자들은 하루만에 투자금액의 반 이상을 날려버린 셈이다.
FRB는 지난 16일 과속경제에 중징계 티켓을 발부했다.
단기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 것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FRB는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내달 열리는 회의에서도 0.5%포인트를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게 이곳의 전망이다.
막 피부로 감지되기 시작한 인플레심리를 꺾어보자는 데 주목적이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그 직접적 피해는 시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린스펀 맬킬 실러 스미더스 라이트 등이 투기적 환상에 대해 심각한 경고음을 울렸지만 이번 FRB의 금리인상만큼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경고는 되지 못했다.
미국 시장은 이로 인해 이미 적지 않은 몸살을 앓고 있다.
하지만 그 끝이 어딘지 모른다는 데 투자자들의 더 큰 고민이 있다.
http: // bjGloba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