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표준화 업무통합 .. 정부, 민/관포럼 내달 발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등이 분야별로 따로 관리하는 바람에 적잖은 혼선을 빚어온 전자상거래 표준화 업무를 6월중 민.관 합동으로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 포럼"을 발족시켜 통합.조정키로 했다.
산자부와 정통부는 24일 국제기준에 적합한 전자상거래관련 표준을 만들고 각 부처별 표준제정 업무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 포럼을 결성키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전자상거래분야 표준은 전자카탈로그와 같은 인터넷거래를 위한 상품안내 체계 등의 표준 업무는 산자부, 전자결제.보안및 인증관련 표준은 정통부 등으로 나눠져 효율적인 표준 제정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 포럼에는 전자상거래연구조합 한국정보보호센터 한국전산원 산업표준연구원 한국건설교통연구원 국립지리원 등 산자부 정통부는 물론 건설교통부와 과학기술부 산하 14개 표준화기관 대표자와 전자상거래관련 기업체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한국표준협회와 한국전산원이 공동 간사를 맡아 "전자상거래 표준화 포럼"운영을 주도하며 기술표준원이 세부적인 전자거래 표준화 사업을 지원한다.
이 포럼에서 논의할 표준화 대상 분야는 <>전자카달로그및 우편관련 표준 <>전자문서교환(EDI)및 물류관련 표준 <>전자지불.보안및 인증관련 표준 <>전자상거래서비스관련 표준 등이다.
또 선진국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하는 전자거래기술에 대해선 국내 도입의 타당성 등을 검토하게 된다.
산자부와 정통부는 앞으로 포럼내 전문가 회의 등에서 도출된 합의사항에 대해선 부처간 협의체인 전자거래정책협의회에 논의 안건으로 올려 추진 상황 등을 점검키로 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전자거래와 관련한 표준화 업무가 부처에 분산돼 효율성과 통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표준화포럼 결성을 추진하게됐다"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
산자부와 정통부는 24일 국제기준에 적합한 전자상거래관련 표준을 만들고 각 부처별 표준제정 업무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 포럼을 결성키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전자상거래분야 표준은 전자카탈로그와 같은 인터넷거래를 위한 상품안내 체계 등의 표준 업무는 산자부, 전자결제.보안및 인증관련 표준은 정통부 등으로 나눠져 효율적인 표준 제정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 포럼에는 전자상거래연구조합 한국정보보호센터 한국전산원 산업표준연구원 한국건설교통연구원 국립지리원 등 산자부 정통부는 물론 건설교통부와 과학기술부 산하 14개 표준화기관 대표자와 전자상거래관련 기업체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한국표준협회와 한국전산원이 공동 간사를 맡아 "전자상거래 표준화 포럼"운영을 주도하며 기술표준원이 세부적인 전자거래 표준화 사업을 지원한다.
이 포럼에서 논의할 표준화 대상 분야는 <>전자카달로그및 우편관련 표준 <>전자문서교환(EDI)및 물류관련 표준 <>전자지불.보안및 인증관련 표준 <>전자상거래서비스관련 표준 등이다.
또 선진국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하는 전자거래기술에 대해선 국내 도입의 타당성 등을 검토하게 된다.
산자부와 정통부는 앞으로 포럼내 전문가 회의 등에서 도출된 합의사항에 대해선 부처간 협의체인 전자거래정책협의회에 논의 안건으로 올려 추진 상황 등을 점검키로 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전자거래와 관련한 표준화 업무가 부처에 분산돼 효율성과 통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표준화포럼 결성을 추진하게됐다"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