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전자상거래망 혼선..정부, 정유업체 반발에 석유公-CA조인식 만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의 명확한 정책 부재로 석유전자상거래망 사업이 혼선을 겪고 있다.
24일 산업자원부와 정유업계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사와 세계적인 컴퓨터소프트웨어업체인 컴퓨터어소시에이츠(CA)등은 석유 B2B(기업간)전자상거래망을 구축키로 하고 이날 조인식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정부의 만류로 조인식을 간담회로 대체했다.
산업자원부의 김호철 석유산업과장은 "정유회사들이 함께 참여할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조인식을 미루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석유는 전략적 재화라는 특수성이 고려돼야 한다"며 "충분히 기반을 다진후에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정유회사들이 전자상거래망 구축에 반발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자칫하면 석유전자상거래의 주도권이 외국에 넘어갈 처지에 놓이게 됐다.
당초 석유공사는 CA 삼일회계법인 생산성본부 등과 함께 40억원규모의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국내기관들이 51%의 지분을 확보, 경영을 주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석유공사의 출자가 지연됨에 따라 CA가 51%의 지분을 갖고 석유공사는 국내정유시장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정유회사들은 석유전자상거래망이 구축될 경우 석유수입업자들이 이를 활용해 영업을 확대하는 등 기존의 석유수급시스템을 위협하게 될 것으로 보고 석유공사의 전자상거래망구축에 반발하고 있다.
정부의 정책에 순응하느라 가격설정도 자율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는 국내 정유회사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는 주장이다.
또 공기업인 석유공사가 전자상거래를 추진하는 것은 민간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으로 전반적인 추세에 맞지 않다는 점도 지적해 왔다.
그러나 석유공사는 이미 해외에서는 세계적 석유회사들이 인터넷을 통한 석유전자상거래망 구축사업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며 향후 동북아지역에서의 석유전자상거래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조기에 착수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석유공사의 한 관계자는 "내년1월부터 시스템을 가동하려고 하는데 5월말까지는 법인이 설립돼야 한다"며 "석유공사의 참가여부에서부터 모든 문제를 원점에서부터 산자부와 다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택 기자 idntt@hankyung.com
24일 산업자원부와 정유업계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사와 세계적인 컴퓨터소프트웨어업체인 컴퓨터어소시에이츠(CA)등은 석유 B2B(기업간)전자상거래망을 구축키로 하고 이날 조인식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정부의 만류로 조인식을 간담회로 대체했다.
산업자원부의 김호철 석유산업과장은 "정유회사들이 함께 참여할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조인식을 미루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석유는 전략적 재화라는 특수성이 고려돼야 한다"며 "충분히 기반을 다진후에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정유회사들이 전자상거래망 구축에 반발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자칫하면 석유전자상거래의 주도권이 외국에 넘어갈 처지에 놓이게 됐다.
당초 석유공사는 CA 삼일회계법인 생산성본부 등과 함께 40억원규모의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국내기관들이 51%의 지분을 확보, 경영을 주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석유공사의 출자가 지연됨에 따라 CA가 51%의 지분을 갖고 석유공사는 국내정유시장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정유회사들은 석유전자상거래망이 구축될 경우 석유수입업자들이 이를 활용해 영업을 확대하는 등 기존의 석유수급시스템을 위협하게 될 것으로 보고 석유공사의 전자상거래망구축에 반발하고 있다.
정부의 정책에 순응하느라 가격설정도 자율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는 국내 정유회사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는 주장이다.
또 공기업인 석유공사가 전자상거래를 추진하는 것은 민간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으로 전반적인 추세에 맞지 않다는 점도 지적해 왔다.
그러나 석유공사는 이미 해외에서는 세계적 석유회사들이 인터넷을 통한 석유전자상거래망 구축사업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며 향후 동북아지역에서의 석유전자상거래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조기에 착수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석유공사의 한 관계자는 "내년1월부터 시스템을 가동하려고 하는데 5월말까지는 법인이 설립돼야 한다"며 "석유공사의 참가여부에서부터 모든 문제를 원점에서부터 산자부와 다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택 기자 idn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