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수입억제를 위해 경제성장률을 인위적으로 하향조정하지 않기로 했다.

또 최근의 원화 환율 불안정에도 불구, 외환시장에 개입하지 않고 금리도 올리지 않을 계획이다.

엄낙용 재정경제부 차관은 25일 오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대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에 참석, ''최근 경제동향및 향후 경제정책방향'' 주제의 조찬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1.4분기 높은 성장률은 지난 2년간 급격히 위축된 경제 수준의 회복에 따른 기술적 반등 효과 덕분"이라며 "최근 산업생산 설비투자등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어 성장률을 인위적으로 하향조정하는 것은 과도한 경기위축을 자초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리인상은 주식시장과 채권시장간 균형을 깨뜨려 금융시장 불안을 야기시킬수 있다"고 말해 금리 인상에 부정적 견해를 표시했다.

이어 "정부개입에 의해 환율을 인위적으로 절하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며 외환시장에 개입하지 않을 뜻임을 분명히 했다.

한편 전철환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한국금융연구원 초청 금융기관 경영인 조찬강연회에서 "제2의 경제위기가 재발될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해외언론과 신용평가기관의 비판은 한국의 구조개혁이 보다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충고성 경고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 총재는 국내경제의 불안요인을 해소하기 위해선 일관성 있게 구조조정작업을 추진하는 한편 거시경제정책을 안정적으로 운용해 물가안정기조를 확고히 정착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현철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