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버랜드는 세계 초일류 디지털 에버랜드를 건설키 위해 e비즈니스를 적극 추진중이다.

국내 최대의 테마파크로 리조트와 유통 골프 등 여러 사업을 통해 다양한 연령층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어 e비즈니스를 추진하기에 유리하다고 회사측은 보고 있다.

이 회사는 일단 오프라인의 사업을 그대로 사이버상에 옮겨놓는 방식으로 e비즈니스를 꾀하고 있다.

사이버 삼성 에버랜드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모델을 꾸미겠다는 전략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다양한 고객의 연령층에 맞춰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인터넷 가상사회에서 경쟁력있는 리조트.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변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에버랜드는 최근 e비즈니스 중장기 사업전략을 확정했다.

일단 오프라인 사업을 중심으로 온라인 사업을 벌일 수 있는 기초를 닦고 내년부터 온오프 사업을 점진적으로 통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내 지식경영시스템(E-KISS)을 도입했고 체계적인 고객관리(CRM)와 효율적인 공급망관리(SCM)를 위한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이버 사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사내 인프라를 구축하는 과정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어린이및 부모 모두를 위한 콘텐츠와 e커머스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허브사이트를 만들어 브랜드 파워를 높여갈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서 미국 디즈니를 능가하는 경쟁력을 갖춘 세계적 종합리조트로 성장한다는 전략이다.

이 회사는 짜임새있는 e비즈니스 전략을 펼친 결과 이미 일부 사이버 사업의 경우 정상궤도에 들어섰다.

삼성은 사이버 공간에서도 용인 에버랜드의 동물원 수목원 등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사이버 에버랜드를 구성했으며 온라인 게임 포털사이트(게임 에버랜드)를 개설해 50만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이 회사는 게임사업의 특성을 고려해 기존 대기업적 운영방식에서 과감히 탈피,신속한 의사결정과 참신한 발상 및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젊은 인력 위주로 사이버 게임사업을 벌이고 있다.

회사측은 게임에버랜드가 한국 게임산업의 메카로 커나갈 것으로 확신했다.

삼성에버랜드는 경영 전부문의 디지털화를 꾀하기 위해 <>커뮤니티 구성 <>엔터테인먼트 <>사이버 구매 분야별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최근 7명으로 구성된 e비즈팀을 신설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리조트 빌딩관리 유통 환경 등 전 사업부문에 걸쳐 e비즈니스화를 꾀해 올해 전체 매출의 20%를 온라인 사업으로 거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기존 사업과 직접 연관이 없는 e비즈 신사업에 참여해 2005년 이 분야에서만 1천5백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에버랜드는 오프라인 사업의 경쟁우위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네이버 라이코스 등 온라인 회사와 전략적 제휴,다양한 이벤트 사업을 벌이고 있다.

특히 게임에버랜드에서는 온라인 게임 벤처회사 및 한국과학기술원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세계 온라인 게임시장을 집중 공략할 방침이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