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현대 오너경영진의 동반퇴진에 대해 큰 충격감을 나타냈다.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조치인데다 사실상 오너중심 경영이 대부분인 다른 대기업에도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재계는 특히 창업1세대 뿐만 아니라 2세대까지 동시에 퇴진한 것은 정부의 강력한 "재벌해체 의지"의 표명이라는 해석을 내리기도 했다.

다만 정주영 명예회장 일가의 퇴진은 어디까지나 "건실하지 못하고 투명하지 못한 경영"에 대한 책임을 물은 것이지 오너이기 때문에 물러난 것은 아니다라는 의견도 많았다.

대한상공회의소 엄기웅 조사본부장은 "시대가 그렇게 만든 것이다.
창업세대가 공을 많이 세웠지만 시장이 바뀐 상황에서 구조조정을 잘 못하면 물러날 수 밖에 없다는 분위기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의 한 임원은 "오너의 퇴진을 놓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어쨌든 이번 기회에 현대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한국경제 전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는 "현대의 이번 발표는 개인 회사의 문제이지 오너경영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과 재무구조를 기준으로 기업을 판단해야지 오너경영 전체를 문제삼아선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압력이라는 배경이 있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현대가 자체적으로 판단해서 내놓은 경영전략이라면 왈가불가할 사항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4대 그룹의 한 임원은 "문제의 본질은 현대가 시장의 신뢰를 얼마나 얻느냐의 여부"라면서도 정주영 명예회장의 퇴진이 재계 전체에 오너의 무조건적인 퇴진론이 확산되는 것을 경계했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