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공급시장 붕괴 우려 확산...준농림지 폐지 '파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택공급시장이 빈사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수도권 난개발 문제로 아파트 분양 시장이 냉각돼 있는 상태에서 이번에 준농림지 규제강화라는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주택업계에선 준농림지 용적률과 건폐율이 낮아지는데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사업인허가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어 이제 주택사업을 벌일 터전마저 잃게 됐다고 하소연한다.
이대로가다간 민간 주택공급시장이 붕괴될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청약률 급락=수도권 아파트시장의 경우 인기 청약지역이던 용인을 비롯 대부분 지역에서 공급물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청약률이 한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이 지난달 17일 공급한 용인 구성면 상하리 현대아파트(35,52평형 4백56가구)는 1순위에서 22명,2.3순위에서 2명이 청약했다.
지난달 4일 공급된 광주 송정리 현대아파트(35,49평형 3백26가구) 역시 3순위까지 9명만이 분양을 받았다.
금호건설이 지난달 29일 분양한 광주 오포면 아파트(35,50평형 4백76가구)는 1순위에서 2명,3순위에서 3명만이 청약한 실정이다.
주택업체들이 아파트 공급을 꺼릴 정도로 시장이 최악의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는 것이다.
<>공급량 감소=주택업체들의 아파트 공급실적도 극히 저조하다.
대형주택업체들의 모임인 한국주택협회가 집계한 94개 회원사의 올해 주택공급 실적은 지난 4월말까지 19개사 2만3백50가구에 그치고 있다.
주택업체중 아파트분양물량이 가장 많은 현대산업개발의 경우 올해 3만2천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으나 지난달까지 공급한 물량은 6천2백가구에 불과하다.
목표치의 20%수준이다.
중소업체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대한건설사업협회 소속 3천여개주택업체중 지난달까지 주택사업을 벌인 곳은 92개사밖에 되지 않는다.
공급물량도 2만9천4백79가구에 머물고 있다.
도시기본계획을 수립중인 지자체들이 난개발에 대한 비난을 의식,당분간 사업인허가를 내주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간부문 주택공급량은 더 줄어들 전망이다.
<>전망=주택업계에선 지금까지 보다는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재개발 재건축의 용적률을 낮춘데 이어 준농림지 규제강화로 사업을 벌일 곳이 마땅치 않은 탓이다.
허양 SK건설 주택사업본부장은 "지난 2~3년간 자금사정이 좋지 않아 지주공동사업 형태로 주택사업을 연명해 왔는데 준농림지 규제로 이젠 일감 자체가 없어질것 같다"고 말했다.
사승하 건영 주택사업부차장도 "준농림지 개발을 막으면 해답은 공공택지 확대뿐이지만 공공택지의 경우 선수협약으로 땅을 분양받은후 2~3년이 지나야 일반분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금여력이 없는 중소업체들한테는 그림의 떡"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중소업체들을 위한 보완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얘기다.
이동성 주택산업연구원장도 "주택시장 환경이 예전과는 판이하게 달라져 정부와 금융기관이 앞장 서 후분양제도의 도입 등을 신중히 검토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
수도권 난개발 문제로 아파트 분양 시장이 냉각돼 있는 상태에서 이번에 준농림지 규제강화라는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주택업계에선 준농림지 용적률과 건폐율이 낮아지는데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사업인허가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어 이제 주택사업을 벌일 터전마저 잃게 됐다고 하소연한다.
이대로가다간 민간 주택공급시장이 붕괴될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청약률 급락=수도권 아파트시장의 경우 인기 청약지역이던 용인을 비롯 대부분 지역에서 공급물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청약률이 한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이 지난달 17일 공급한 용인 구성면 상하리 현대아파트(35,52평형 4백56가구)는 1순위에서 22명,2.3순위에서 2명이 청약했다.
지난달 4일 공급된 광주 송정리 현대아파트(35,49평형 3백26가구) 역시 3순위까지 9명만이 분양을 받았다.
금호건설이 지난달 29일 분양한 광주 오포면 아파트(35,50평형 4백76가구)는 1순위에서 2명,3순위에서 3명만이 청약한 실정이다.
주택업체들이 아파트 공급을 꺼릴 정도로 시장이 최악의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는 것이다.
<>공급량 감소=주택업체들의 아파트 공급실적도 극히 저조하다.
대형주택업체들의 모임인 한국주택협회가 집계한 94개 회원사의 올해 주택공급 실적은 지난 4월말까지 19개사 2만3백50가구에 그치고 있다.
주택업체중 아파트분양물량이 가장 많은 현대산업개발의 경우 올해 3만2천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으나 지난달까지 공급한 물량은 6천2백가구에 불과하다.
목표치의 20%수준이다.
중소업체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대한건설사업협회 소속 3천여개주택업체중 지난달까지 주택사업을 벌인 곳은 92개사밖에 되지 않는다.
공급물량도 2만9천4백79가구에 머물고 있다.
도시기본계획을 수립중인 지자체들이 난개발에 대한 비난을 의식,당분간 사업인허가를 내주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간부문 주택공급량은 더 줄어들 전망이다.
<>전망=주택업계에선 지금까지 보다는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재개발 재건축의 용적률을 낮춘데 이어 준농림지 규제강화로 사업을 벌일 곳이 마땅치 않은 탓이다.
허양 SK건설 주택사업본부장은 "지난 2~3년간 자금사정이 좋지 않아 지주공동사업 형태로 주택사업을 연명해 왔는데 준농림지 규제로 이젠 일감 자체가 없어질것 같다"고 말했다.
사승하 건영 주택사업부차장도 "준농림지 개발을 막으면 해답은 공공택지 확대뿐이지만 공공택지의 경우 선수협약으로 땅을 분양받은후 2~3년이 지나야 일반분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금여력이 없는 중소업체들한테는 그림의 떡"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중소업체들을 위한 보완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얘기다.
이동성 주택산업연구원장도 "주택시장 환경이 예전과는 판이하게 달라져 정부와 금융기관이 앞장 서 후분양제도의 도입 등을 신중히 검토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