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8일 주한미공군기의 폭탄 투하후 매향리 주민들이 신고한 시설 및 가축피해 등을 조사한 한.미합동조사단은 1일 "폭탄투하로 인한 "직접적 피해"는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주민들은 이같은 조사결과를 수용할 수 없으며 사격훈련을 몸으로 저지하고 사격장 폐쇄를 위해 투쟁하겠다고 나서 해 마찰이 예상된다.

합동조사단은 1일 국방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반이 연암층이고 폭탄 6개가 동시에 폭발했다는 최악의 가정을 해도 1천8백50m 떨어진 해안가에 미치는 충격은 초당 0.41cm로 주택에 최소의 피해를 주는 기준충격인 초당 0.5cm보다 적게 나타났다"며 "표본조사를 벌인 피해건물은 투하장소로부터 2천20~4천20m나 떨어져 있어 건물균열은 폭발에 의한 진동과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발표했다.

조사단은 그러나 수족경련 불면 등 주민들의 피해와 젖소의 유산 등 가축피해가 폭발음과 관련된 것인 지는 판단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주민이 선정한 민간전문회사인 경기안전진단공사의 서수원 대표도 "5월8일 농섬 폭탄투하와 관련된 합동조사 결과에 동의한다"고 전제한 뒤 "다만 지난 50년간 누적된 피해에 대해서는 앞으로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주한미군은 이같은 조사결과가 나옴에 따라 2일 부터 사격을 재개하기로 했다.

< 장유택 기자 changyt@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