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 시행을 불과 한달 남겨놓은 시점에서 의료업계의 대규모 집단행동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적잖이 우려스런 일이다.

전국의 의사 3만~4만명이 4일 대규모 항의집회를 갖는 것을 시발로 오는 20일에는 전국의 동네의원과 1만3천여 전문.수련의들이 일제히 폐업신고서와 사표를 내면서 투쟁의 수위를 높여갈 것이라 하니 국민들로서는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의료업계는 약사의 임의조제를 근절하고 대체조제에 대한 사전승인제를 도입하도록 정부에 요구하고 있는 모양이지만 이런 문제들이 아직도 토론만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정부는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우선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의약분업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 의약품 분류라고 하겠지만 이것이 지난달 30일에야 부랴부랴 확정 발표됐고 의료업계가 뒤늦게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는 것 역시 개탄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의사와 약사,병원과 약국등 당사자들의 사활적인 이해관계가 걸린 일을 조정하는 것이 그리 쉽지는 않았다고 하겠으나 전면 시행을 불과 한달 남겨놓고 있는 시점에서 의료업계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는 것을 보면 과연 의약분업이 되기는 될 것인지조차 의문이 드는 정도다.

오는 7월1일 의약분업 실시와 함께 수백만 환자들이 병원과 약국을 오가며 몇차례씩 헛걸음질을 해야하는 것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의약분업 비상 추진본부"와 "평가단"을 운영해 6개월간의 시행결과를 보고 미비점을 보완하겠다지만 하루평균 1백20만명에 이르는 외래환자들이 겪을 허다한 불편까지 감안하면 시행과 더불어 "대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는 일부의 걱정도 기우만은 아니라 하겠다.

정부는 의료업계를 설득해 시행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것은 물론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해 새로운 제도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오는 혼란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의료업계 역시 극한 투쟁을 삼가고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