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기업들은 담보없이 은행에서 돈을 빌린다.

차입금리도 연 2-6%에 불과하다.

우리 기업들이 부러워 할 만한 이상적인 금융환경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은행도 기업도 국가소유이므로 담보가 필요없고 금리는 시장이 아니라 국가가 책정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북한의 금융체계는 남한과 판이하다.

우선 북한의 모든 은행은 조선중앙은행의 감독하에 놓여있는 단일체계다.

정무원 산하의 조선중앙은행과 그 산하의 무역은행.금강은행.대성은행 등이 기관과 기업소에 화폐자금을 계획적으로 공급한다.

조선중앙은행은 통상적인 중앙은행의 기능 외에 예금.대출업무,행정기관과 기업소에 대한 국가자금 공급과 국내 보험업무까지 담당한다.

남한의 한국은행.특수은행.예금은행.보험회사의 기능을 망라하고 있는 셈이다.

조선중앙은행은 자금공급을 집중 처리하기 때문에 이들 기관.기업소는 조선중앙은행에 단일 구좌를 두고 수입과 지출을 반드시 은행계좌를 통해 결제해야 한다.

따라서 북한에서 화폐유통은 엄격하게 이원화돼있다.

기관.기업소 간에는 현금없이 은행계좌간 대체결제만 이뤄진다.

현금과 외상거래는 철저히 금지돼있다.

생활비 자금 등의 현금계획범위 내에서만 현금을 찾을 수 있다.

기업에 대한 대출도 모두 무담보로 이뤄진다.

이에 비해 주민들간,주민과 기관.기업소간의 거래에는 현금이 유통된다.

주민에 대한 생활비 지급,주민들의 소매상품 구입,농민시장 거래,서비스요금 지급을 위해서다.

주민들이 은행에 저축을 할 수는 있으나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점도 특징.

주민들은 편법을 동원해 기업소에서 월급을 가불하거나 암시장에서 돈을 차입,전체 통화량의 25-40%가 이곳에서 유통된다.

이율도 연 20-30%에 이르는 고금리다.

때문에 당국의 반강압적 예금독려에도 불구하고 저축률이 낮고 유통되는 화폐량이 턱없이 적어 대용전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외화의 경우 기관.기업소의 사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어 일반 주민의 외화이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금융시스템이 통제중심으로 운영돼 북한의 금융산업은 낙후성을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하고 있다.

특히 시장성에 입각하지 않은 자금운용과 자동화.전산화의 낙후 등은 경제전체의 침체를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남북 경협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금융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한 협력방안이 시급히 논의돼야 한다는 주장도 이런 현실의 반영인 셈이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