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開院國會] DJ 연설 촉각 .. 한나라당, 청취연계 협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일 열리는 개원국회의 최대 관심은 국회의장단 경선과 김대중 대통령의 연설이다.
민주당 이만섭 상임고문과 한나라당 서청원 의원간 맞대결을 벌이는 의장 경선은 이 후보가 다소 유리한 형국이다.
김 대통령의 개원연설은 당일 오전의 한나라당 의총 결과를 지켜봐야 하나 야당의 참여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민주당이 원내 교섭단체 구성 관련 법안을 단독처리하지 않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국회의장단 경선이 끝나고 오후 2시에 있을 김대중 대통령의 개원연설에 한나라당의 참여여부가 관심거리다.
한나라당이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문제와 대통령의 개원연설 청취를 연계시킨다는 강경한 방침이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권철현 대변인은 4일 오후 열린 당5역회의 브리핑에서 "자민련을 위한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는 국회와 총선민의를 무시하는 것이며,여야 영수회담에서 인위적 정계개편은 절대 않겠다고 한것과도 배치된다는 입장을 재확인 했다"고 강조했다.
권 대변인은 "따라서 이 문제를 그대로 놔둔채 대통령의 개원연설을 듣기가 어렵지 않겠느냐는 발언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에대해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끝내 대통령 연설 청취를 거부할 경우 단독으로라도 이를 강행한다는 방침이다.
정균환 총무는 "국회법 개정안은 여야가 상의해 처리할 것인 만큼 김 대통령의 연설은 예정대로 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측은 개원연설 불참으로 자칫 정상개원을 바라는 민의에 역행하는 모습으로 비쳐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당 5역 회의에서도 "우리당이 국회개원을 발목 잡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개원 방해로 낙인 찍힐 우려가 있다" 등의 목소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측도 야당이 불참한 대통령 개원연설에 상당한 부담은 느끼고있어 "국회법개정 합의 처리" 약속을 앞세워 야당측을 설득하고 있다.
결국 5일의 한나라당 의원총회 결과에 따라 야당의 참여 여부가 최종 결정될 것이나 여야간 극적인 합의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는 상황이다.
김형배 기자 khb@hankyung.com
민주당 이만섭 상임고문과 한나라당 서청원 의원간 맞대결을 벌이는 의장 경선은 이 후보가 다소 유리한 형국이다.
김 대통령의 개원연설은 당일 오전의 한나라당 의총 결과를 지켜봐야 하나 야당의 참여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민주당이 원내 교섭단체 구성 관련 법안을 단독처리하지 않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국회의장단 경선이 끝나고 오후 2시에 있을 김대중 대통령의 개원연설에 한나라당의 참여여부가 관심거리다.
한나라당이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문제와 대통령의 개원연설 청취를 연계시킨다는 강경한 방침이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권철현 대변인은 4일 오후 열린 당5역회의 브리핑에서 "자민련을 위한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는 국회와 총선민의를 무시하는 것이며,여야 영수회담에서 인위적 정계개편은 절대 않겠다고 한것과도 배치된다는 입장을 재확인 했다"고 강조했다.
권 대변인은 "따라서 이 문제를 그대로 놔둔채 대통령의 개원연설을 듣기가 어렵지 않겠느냐는 발언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에대해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끝내 대통령 연설 청취를 거부할 경우 단독으로라도 이를 강행한다는 방침이다.
정균환 총무는 "국회법 개정안은 여야가 상의해 처리할 것인 만큼 김 대통령의 연설은 예정대로 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측은 개원연설 불참으로 자칫 정상개원을 바라는 민의에 역행하는 모습으로 비쳐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당 5역 회의에서도 "우리당이 국회개원을 발목 잡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개원 방해로 낙인 찍힐 우려가 있다" 등의 목소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측도 야당이 불참한 대통령 개원연설에 상당한 부담은 느끼고있어 "국회법개정 합의 처리" 약속을 앞세워 야당측을 설득하고 있다.
결국 5일의 한나라당 의원총회 결과에 따라 야당의 참여 여부가 최종 결정될 것이나 여야간 극적인 합의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는 상황이다.
김형배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