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투자자들이 공모주 청약 기회를 얻기 위해 증권사 계좌에 잔고유지용으로 생돈을 계속 넣어두어야 할지를 놓고 고민을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이르면 6월중이라도 일반인용 공모주 청약제를 폐지할 것이라는 얘기가 파다하게 나돌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까다로운 공모주 청약자격을 제시하고 있는데 개인 투자자들이 이 자격을 맞추려면 해당 증권사에 계좌를 개설한후 일정한 거래실적을 쌓아야 한다.

공모주를 많이 하는 경우엔 여러 증권사와 거래해야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돈이 만만찮게 들어간다.

현행 제도상 어떤 증권사가 공모주 청약 기회를 줄지를 미리 점칠수 없어 "유비무환" 격으로 여러 곳에 공모주용 계좌를 트는 사람들이 많다.

공모주 고객이 많은 D증권의 영업부장은 "7월 청약을 기다리고 지난달부터 잔고유지를 위해 적금을 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요즘 일반인 청약 폐지 소식을 접해 놀란 나머지 상담전화를 많이 걸어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 부장은 이에따라 "금감원에 사실 여부를 문의 했으나 대답하는 사람마다 얘기가 달라 더 혼란스럽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금감원은 최근들어 일반인에 대한 공모주 배정이 장기적으로는 폐지될 것이라는 점을 굳이 숨기지 않는다.

증시 선진화를 위해 일반인의 공모주 청약은 바람직하지 않다는게 정책 방향이라는 것.

그러나 구체적인 시행시기에 대해선 "미정"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금감원의 강병호 부원장은 "일반인에 대한 공모주 배정을 폐지하는 것이 올바른 정책이지만 폐지 시기에 대해선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금감원 실무자들은 폐지로 인한 후유증을 검토하기 시작했고 투신 펀드 활성화를 위해 공모주의 기관배정확대(개인배정축소)를 급히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금감원의 투신관련국에서 나오고 있다.

증권가에선 이에따라 금년 하반기중 일반인 배정이 폐지될 것이라는 관측이 파다하다.

청약 투자자들은 이렇게 일정이 불투명하다면 "청약 시기" 예측 자체가 일종의 투기행위가 된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극단적인 시나리오로 금감원이 오는 7월부터 공모주식의 개인배정을 폐지한다면 투자자는 이달중이라도 바로 증권사에서 돈을 빼내는게 유리하다.

대부분 증권사가 청약 첫날의 전월을 기준으로 청약자격을 확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8월이후부터 시행된다면 이달중엔 착실하게 잔고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S증권 기획부장은 "특히 투신사의 하이일드 펀드등에 공모주를 보다 많이 배정키 위해 일반인 배정을 축소 또는 폐지하는 것이 올바른 정책인지 여부는 공개적으로 토론해 빨리 결정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와관련,증권전문가들은 미국의 사례를 들어 주간사 증권사에 모든 공모주 배정권한을 되돌려주는 원칙이 제대로 확립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증권업협회 관계자는 "일반인 배정 폐지와 관련해 코스닥기업의 5백인 분산 요건을 못갖추는 최악의 사태가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기관투자가 청약만으로는 5백명이상 주주분산이 안되고 결과적으로 주식시장이 파행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