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한국 PE 관련제품 통관 불허 .. 對中 진출업체피해 급속확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의 한국산 폴리에틸렌(PE) 및 이동전화단말기 수입금지로 중국에 진출한 국내업체들의 피해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중국 세관측은 특히 폴리프로필렌(PP)등 이번 조치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폴리에틸렌 유사제품에 대해서도 통관을 불허, 국내업체들이 애를 먹고 있다.
핸드폰의 경우 각 매장에서 "한국산은 안 판다"는 팻말이 나돌고 있어 이 문제가 자칫 ''한국제품 불매운동''으로 비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9일 베이징 및 상하이 상사원에 따르면 중국세관은 수입금지 발효시점인 지난 7일 오후 7시 이전에 입항한 물품에 대해서도 통관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S업체 관계자는 "지방세관이 중앙의 지침이 없다는 이유로 통관을 미루고 있다"며 "이로인해 4천t 규모의 폴리에틸렌이 항구에 묶여 있다"고 말했다.
중국 세관당국은 발효시점 이전에 통관신고가 들어온 물품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통관을 허용토록 내부지침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보세구역 물품 및 입항대기 물품, 현재 해상에 있는 물품에 대해서는 어떤 기준을 적용할지는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삼성 현대 SK 한화 동양 등 석유화학업체들은 이로인해 모두 1만t(t당 수출가=약 7백달러)이상의 폴리에틸렌을 항구에 쌓아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업체는 또 중국의 폴리에틸렌 수입상으로부터 수입계약을 전면 취소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텐진항 당국도 이날 통관신고를 낸 한국산 PP제품 통관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텐진에 다녀온 한 상사원은 "중국정부가 진일보한 보복조치를 내릴 수 있다는 이유로 텐진세관이 PP통관을 거부했다"며 "이번 사건이 장기화될 경우 피해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핸드폰의 경우 중국의 수입상은 불이익을 우려, 자취를 감췄다.
주요 핸드폰 수출업체인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런 상황이 10일만 계속된다면 1년치 순익을 모두 날리게 될 판"이라고 말했다.
특히 베이징의 일부 핸드폰 매장에서는 ''애니콜''전시품을 철거했다.
이 관계자는 "CCTV등 중국 TV방송들이 한국제품 수입금지 소식을 집중 보도해 한국제품의 이미지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주중 한국대사관측은 본국의 지침이 없어 아직 중국측과 협상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중국측은 한국의 대응이 완강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며 "협상시기를 놓치면 자칫 장기화될 우려가 없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가능한 빨리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게 대사관의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중국의 한국산 폴리에틸렌(PE)수입 제한조치로 중국 수출길이 막힐 경우 연간 총 16억달러 가량의 직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줄 것을 건의키로 했다.
LG석유화학 대림 현대석유화학 삼성종합화학 등 9개 NCC사 대표들은 이날 서울 양재동 교육회관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중국 PE금수에 따른 영향을 담은 건의서를 정부에 제출키로 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PE중국 수출길이 막힐 경우 NCC분해공장 가동율을 낮춰야 하고 그렇게 되면 폴리프로필렌(PP) PVC 등 연관 제품 생산까지 연쇄적으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했다.
< 베이징=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 >
중국 세관측은 특히 폴리프로필렌(PP)등 이번 조치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폴리에틸렌 유사제품에 대해서도 통관을 불허, 국내업체들이 애를 먹고 있다.
핸드폰의 경우 각 매장에서 "한국산은 안 판다"는 팻말이 나돌고 있어 이 문제가 자칫 ''한국제품 불매운동''으로 비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9일 베이징 및 상하이 상사원에 따르면 중국세관은 수입금지 발효시점인 지난 7일 오후 7시 이전에 입항한 물품에 대해서도 통관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S업체 관계자는 "지방세관이 중앙의 지침이 없다는 이유로 통관을 미루고 있다"며 "이로인해 4천t 규모의 폴리에틸렌이 항구에 묶여 있다"고 말했다.
중국 세관당국은 발효시점 이전에 통관신고가 들어온 물품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통관을 허용토록 내부지침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보세구역 물품 및 입항대기 물품, 현재 해상에 있는 물품에 대해서는 어떤 기준을 적용할지는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삼성 현대 SK 한화 동양 등 석유화학업체들은 이로인해 모두 1만t(t당 수출가=약 7백달러)이상의 폴리에틸렌을 항구에 쌓아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업체는 또 중국의 폴리에틸렌 수입상으로부터 수입계약을 전면 취소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텐진항 당국도 이날 통관신고를 낸 한국산 PP제품 통관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텐진에 다녀온 한 상사원은 "중국정부가 진일보한 보복조치를 내릴 수 있다는 이유로 텐진세관이 PP통관을 거부했다"며 "이번 사건이 장기화될 경우 피해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핸드폰의 경우 중국의 수입상은 불이익을 우려, 자취를 감췄다.
주요 핸드폰 수출업체인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런 상황이 10일만 계속된다면 1년치 순익을 모두 날리게 될 판"이라고 말했다.
특히 베이징의 일부 핸드폰 매장에서는 ''애니콜''전시품을 철거했다.
이 관계자는 "CCTV등 중국 TV방송들이 한국제품 수입금지 소식을 집중 보도해 한국제품의 이미지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주중 한국대사관측은 본국의 지침이 없어 아직 중국측과 협상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중국측은 한국의 대응이 완강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며 "협상시기를 놓치면 자칫 장기화될 우려가 없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가능한 빨리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게 대사관의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중국의 한국산 폴리에틸렌(PE)수입 제한조치로 중국 수출길이 막힐 경우 연간 총 16억달러 가량의 직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줄 것을 건의키로 했다.
LG석유화학 대림 현대석유화학 삼성종합화학 등 9개 NCC사 대표들은 이날 서울 양재동 교육회관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중국 PE금수에 따른 영향을 담은 건의서를 정부에 제출키로 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PE중국 수출길이 막힐 경우 NCC분해공장 가동율을 낮춰야 하고 그렇게 되면 폴리프로필렌(PP) PVC 등 연관 제품 생산까지 연쇄적으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했다.
< 베이징=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