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잠재부실에 대한 추가 대손충당금 부담이 당초 예상보다 적은 2조원 안팎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2일 "지난 주말까지 23개 전 은행의 추가부실과 대손충당금 추가적립계획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며 이를 토대로 금주중 현장조사를 거쳐 월말께 모든 부실을 공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은행 보고내용중 허위 또는 부실은폐 사례가 적발되면 관련자는 엄중 문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형 시중은행들은 추가 대손충당금 규모를 2천억-3천억원, 지방은행은 2백억-8백억원선을 각각 보고한 것으로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권 전체적으론 2조-3조원으로 추산된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여신 등 부실 증가분 <>새 자산건전성 분류기준(FLC)에 의한 부실증가분 <>추가부실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적립 등을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워크아웃 여신의 경우 졸업대상 18개 업체의 여신은 부실에서 제외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금감원은 22개 투신사와 투신운용사에 대해서도 펀드 잠재부실을 점검하기 위해 13일부터 검사원을 파견할 계획이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