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외국경제단체와 기업들의 북한진출 움직임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특히 북미관계 개선에 따라 미국의 대북 경제제한 조치가 해제되면 국제금융기구의 지원과 외국기업의 대북 투자가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금융제재 해제,미국민의 대북 송금,미국 민간선박.항공기의 대북 화물수송,상업 목적의 항공기 운항 등이 가능해져 사업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현재 북한 진출 준비에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곳은 주한 외국 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들. 주한 미국상공회의소(AMCHAM)는 하반기중 도로.항만.경공업 분야의 협력을 위해 대표단을 구성,북한에 파견할 계획이다.

AMCHAM 관계자는 "경제제재 조치가 해제되면 주한 미상의 투자 조사단이 북한을 방문해 활동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상회담 이후 2개월에 한 번씩 개최하던 북한위원회 정례 미팅을 매달 한번씩 열러 정보를 수집 교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쓰리엠의 브래드 사우어 사장은 "북한의 사업여건 등 상황 변화를예의주시 하고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한 유럽연합상공회의소(EUCCK)도 대북 활동을 강화할 전망이다.

매년 한 두차례 유럽 현지 기업과 한국 진출 유럽 기업들로 대북 투자사절단을 만들어 현지에 파견하고 있는 유럽연합상의는 북한이 개방되면 적극적인 대북투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북.일 국교정상화는 일본 기업의 북한 진출을 촉발시킬 전망이다.

정상회담 이후 북한과 일본의 국교정상회담이 열리면 북한이 일본으로부터 50억~1백억달러의 전후 배상금을 받게될 것이고 이로인해 일본기업들은 자연히 북한에 진출한다는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국내기업과 일본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 사회간접시설 사업에 진출하는 방안도 예상된다.

이밖에 이탈리아,대만 등이 통일부를 통해 민간차원에서 공동 북한 진출을 적극 타진해 오고 있고 러시아도 남북한을 잇는 대륙횡단 철도를 북한측에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