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부가 마련해 놓은 경협자금은 남북협력기금과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일부 등이 있다.

남북협력기금은 지난 4월말 현재 9천7백1억원이 조성됐다.

이중 4천3백17억원이 집행됐고 5천3백84억원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이중 1천8백억원이 5년만기로 공공자금기금예탁금으로 들어가 있는 등 즉각 쓸 수 있는 자금은 2천억원 남짓하다.

이밖에도 EDCF에서 동원할 수 있는 자금도 최대 7천억원 가량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EDCF 자금의 경우 개발도상국가를 지원하도록 명문화돼 있어 북한 지원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경협자금은 국제사회에서 지원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정부가 외교력을 강화, 미.일 등 주요관련국의 자금지원을 유도하면서 저개발국가에 대한 지원 노하우가 많은 국제기구에서 "신탁기금"으로 지원하도록 앞장서 교섭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시빗거리도 덜 남기게 된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사회간접자본(SOC)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다양한 국제금융기법을 다각도로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