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경제협력 1호"는 임진강 수해방지 사업이 될 전망이다.

이르면 하반기부터 임진강 수계를 대상으로 홍수 예.경보시스템이 가동되고 임진강 다목적댐 건설이 남북한 공동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총 면적이 8천1백17평방km에 달하는 임진강 유역은 3분의 2가 북한(남한 3천8평방km, 북한 5천1백8평방km)에 위치해 있다.

만성적인 경기북부의 수해를 남한의 노력만으로 방지할 수 없는 이유다.

정부는 이에 따라 이미 지난해 8월 북측에 임진강 수해 방지를 위한 협력을 공식제의했다.

여러 차례 수해로 심각한 타격을 받은 북한도 이 사업에 적극적이어서 남북교류사업중 착수시점이 가장 빠를 것으로 보인다.

건설교통부는 이에 따라 임진강 상.하류의 강우.수자원에 관한 기초자료를 교환하고 양측이 수자원 전문가집단을 구성, 임진강 수계 현장답사 등 공동조사를 벌이자고 제안할 계획이다.

공동조사 결과에 따라 임진강유역에 대한 홍수예.경보 시설을 공동설치.운영하고 하천준설 골재채취 제방축조 산림녹화 사업도 추진키로 했다.

장기적으론 조사를 토대로 임진강 일대에 다목적댐을 건설하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남북 물자교류의 기틀이 될 경의선 복원도 추진된다.

남북간 끊어진 노선은 문산~장단 12km(남측구간), 장단~봉동 8km(북측구간)이다.

건교부는 지난 82년 "남북 기본관계에 관한 잠정협정" 제의에 따른 대북 시범사업으로 남북철도 복원을 추진,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다.

지난 85년 문산~군사분계선간 12km 실시설계를 마쳤고 97년에는 용지매입까지 마쳤다.

유대형 기자 yoo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