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환자들과 시민들은 "의료계의 "제 밥그릇 챙기기" 싸움에 국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경실련과 참여연대,YMCA 등 2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의약분업 정착을 위한 시민운동본부"는 19일 서울 YMCA강당에서 "의원 집단폐업 철회와 의료개혁을 위한 각계 인사 5백인 선언식"을 갖고 의사들의 폐업 방침 철회를 요구했다.
이들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담당하고 있는 개원의사와 의대교수 전공의들이 집단 폐업을 하는 것은 이기주의적 행동으로 볼 수 밖에 없다"면서 "의약분업은 오는 7월1일부터 예정대로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운동본부는 의료계가 집단폐업을 강행할 경우 폐업철회 서명운동과 규탄집회를 벌이고 병원협회를 항의방문하는 등 "폐업철회를 위한 범국민운동"을 펼치기로 했다.
운동본부의 이강원 사무국장은 "환자의 생명을 보호할 의무가 있는 의료인들이 진료를 집단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의사의 윤리를 저버린 것"이라고 비난했다.
경실련 이석연 사무총장도 "어떠한 경우에도 병원의 폐업은 안된다"면서 "제도에 문제가 있다면 차후 보완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들과 네티즌들의 비난 여론도 거셌다.
시민 김환석(62.무직)씨는 "환자들은 의사를 10분간 면회하기 위해 몇시간씩 기다리고 환자 1명에 가족 7~8명이 매달리고 있다"면서 "환자들의 생사가 달린 문제인 만큼 의사들은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야 한다"고 말했다.
가정주부 최인주(29.서울 종로구 무학동)씨는 "시설이나 서비스면에서 세계적으로 최하 수준인 데다 환자나 보호자를 무시하는 사례가 많아 평소 불만을 사온 병원들이 이제는 파업까지 벌인다니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ID가 지팡이인 네티즌은 "의사들의 주장이 아무리 정당해도 환자들의 목숨이 담보가 될 수는 없다"며 "환자를 볼모로 한 집단행동에 철퇴를 가해야 하며 외국의사라도 들여와야 할 판"이라고 비난했다.
<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