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가 20%이상 상승"..맥킨지 조사, 기업지배구조 개선 전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영투명성 제고및,오너경영체제 탈피 등으로 기업지배구조가 개선되면 한국주가가 20%이상 뛰어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적 컨설팅업체인 매킨지는 19일 기업지배구조 개선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색적인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미국 유럽 아시아 중남미 등 전세계 기관투자가 2백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토대로 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투자자 4명중 3명은 투자대상 기업을 고를때 해당기업의 재무상태 뿐아니라 이사회의 활동도 체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조상대상자들의 80%이상이 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의 주식을 더 높은 가격에 사겠다고 응답했다.
기업경영이 투명하고 오너경영에 따른 전횡이 사라질 경우 웃돈(프리미엄)을 얹어서라도 해당기업에 투자할 용의가 있다는 뜻이다.
매킨지에 따르면 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은 <>경영진의 대다수가 외부에서 선임되고 <>경영진이 스톡옵션 등의 형식으로 보수를 받고 <>경영진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절차를 갖추고 있다.
아시아국가들중 기업지배구조개선시 인도네시아의 주가는 27.1%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태국이 25.7%,일본과 대만 20.2%였다.
우리나라는 24.2%의 주가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외국투자자들은 기업지배구조만 개선되면 한국주가가 30%가까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매킨지는 한국의 경우 기업지배구조 개선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은행들이 사외이사제와 감사위원회,리스크관리위원회 등을 도입한 것을 근거로 들었다.
매킨지코리아의 밥 펠톤은 "한국이 공격적으로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나설 수밖에 없는 것은 해외에서 많은 돈을 끌어들어 오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아시아지역에서 외환위기후 경영투명성과 지배구조개선이 이뤄져왔으나 아시아적 가족경영행태가 거의 바뀌지 않는등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특히 회사의 실적이 악화되거나 주가가 급락해도 경영진이 책임지는 일이 거의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미국에서 실적이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최고경영자(CEO)가 쫓겨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
세계적 컨설팅업체인 매킨지는 19일 기업지배구조 개선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색적인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미국 유럽 아시아 중남미 등 전세계 기관투자가 2백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토대로 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투자자 4명중 3명은 투자대상 기업을 고를때 해당기업의 재무상태 뿐아니라 이사회의 활동도 체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조상대상자들의 80%이상이 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의 주식을 더 높은 가격에 사겠다고 응답했다.
기업경영이 투명하고 오너경영에 따른 전횡이 사라질 경우 웃돈(프리미엄)을 얹어서라도 해당기업에 투자할 용의가 있다는 뜻이다.
매킨지에 따르면 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은 <>경영진의 대다수가 외부에서 선임되고 <>경영진이 스톡옵션 등의 형식으로 보수를 받고 <>경영진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절차를 갖추고 있다.
아시아국가들중 기업지배구조개선시 인도네시아의 주가는 27.1%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태국이 25.7%,일본과 대만 20.2%였다.
우리나라는 24.2%의 주가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외국투자자들은 기업지배구조만 개선되면 한국주가가 30%가까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매킨지는 한국의 경우 기업지배구조 개선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은행들이 사외이사제와 감사위원회,리스크관리위원회 등을 도입한 것을 근거로 들었다.
매킨지코리아의 밥 펠톤은 "한국이 공격적으로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나설 수밖에 없는 것은 해외에서 많은 돈을 끌어들어 오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아시아지역에서 외환위기후 경영투명성과 지배구조개선이 이뤄져왔으나 아시아적 가족경영행태가 거의 바뀌지 않는등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특히 회사의 실적이 악화되거나 주가가 급락해도 경영진이 책임지는 일이 거의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미국에서 실적이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최고경영자(CEO)가 쫓겨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