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금 예금 인출 서두를 필요없다 .. "피해 안준다" 대책효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당분간 종금사 예금자들은 서둘러 예금을 인출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종금사의 강제퇴출은 없고 부실 종금사의 경우도 정부가 지분을 인수,예금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정부가 종금사 대책을 발표한 20일 종금사 창구와 언론사에는 "앞으로 종금사들은 어떻게 되느냐""종금사에 넣어둔 예금을 인출해야 하느냐"등의 문의 전화가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날 예금 인출규모는 전날에 비해 1백억원 가량 감소,정부 대책이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종금의 윤승진 이사는 "한달동안 7천억원가량의 예금이 인출돼 유동성 확보에 상당한 애로를 겪었으나 20일 정부 발표후 중도상환요구가 다소 줄었다"고 말했다.
중앙종금은 이날 서울은행에 2천억원 가량의 유동성 지원을 요청했다.
동양종금도 종금권 위기설로 예금인출 요구가 늘었으나 20일은 전날에 비해 인출규모가 보합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종금사에 FLC(미래상환능력을 감안한 건전성 분류기준)을 적용하더라도 BIS(국제결제은행)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낮아지는 폭은 약 1%포인트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종금사들의 BIS비율은 평균 11.39%로 실사후에도 부실기준으로 삼는 8%대는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금감원은 보고 있다.
정부는 또 퇴출시켜야 할 부실종금이 나타나더라도 정부가 지분을 인수,과거처럼 영업정지로 고객 예금이 묶이는 일이 없을 것임을 확실히 했다.
또 예금인출 사태에 대비,은행을 통해 1조원의 자금을 지원해줄 방침이다.
한편 동양종금의 김영태 상무는 "종금사들은 앞으로 자의든 타의든 은행및 증권과 합병하거나 국유화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내몰렸다"며 "일부 종금사는 BIS비율에 관계없이 대주주가 출자를 포기,국유화되는 길을 선택하는 경우도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
정부가 종금사의 강제퇴출은 없고 부실 종금사의 경우도 정부가 지분을 인수,예금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정부가 종금사 대책을 발표한 20일 종금사 창구와 언론사에는 "앞으로 종금사들은 어떻게 되느냐""종금사에 넣어둔 예금을 인출해야 하느냐"등의 문의 전화가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날 예금 인출규모는 전날에 비해 1백억원 가량 감소,정부 대책이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종금의 윤승진 이사는 "한달동안 7천억원가량의 예금이 인출돼 유동성 확보에 상당한 애로를 겪었으나 20일 정부 발표후 중도상환요구가 다소 줄었다"고 말했다.
중앙종금은 이날 서울은행에 2천억원 가량의 유동성 지원을 요청했다.
동양종금도 종금권 위기설로 예금인출 요구가 늘었으나 20일은 전날에 비해 인출규모가 보합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종금사에 FLC(미래상환능력을 감안한 건전성 분류기준)을 적용하더라도 BIS(국제결제은행)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낮아지는 폭은 약 1%포인트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종금사들의 BIS비율은 평균 11.39%로 실사후에도 부실기준으로 삼는 8%대는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금감원은 보고 있다.
정부는 또 퇴출시켜야 할 부실종금이 나타나더라도 정부가 지분을 인수,과거처럼 영업정지로 고객 예금이 묶이는 일이 없을 것임을 확실히 했다.
또 예금인출 사태에 대비,은행을 통해 1조원의 자금을 지원해줄 방침이다.
한편 동양종금의 김영태 상무는 "종금사들은 앞으로 자의든 타의든 은행및 증권과 합병하거나 국유화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내몰렸다"며 "일부 종금사는 BIS비율에 관계없이 대주주가 출자를 포기,국유화되는 길을 선택하는 경우도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