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열린 국회 상임위원회에서는 정상회담 후속조치와 관련한 각종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왔다.

산자위에서 민주당 김택기 의원은 "북한의 에너지 수급구조에서 석탄이 차지하는 비율이 70%에 이르는 점을 감안할 때 북한의 에너지난 해결에 적합한 지원방안의 하나로 우리의 1천만t이 넘는 무연탄 재고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비축무연탄 지원을 제안했다.

건교위에서 한나라당 권기술 의원은 남북한 철도연결사업과 관련, "경의선은 국고로 추진하되 경원선 금강산선 등의 다른 철도는 민자유치나 국제기구 원조 등 별도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김홍일 의원은 "남북한 사회간접자본 사업을 주도할 실무기구가 필요하다"며 남북공동의 ''국토개발실무협의단(가칭)'' 발족을 제안했다.

한반도 생태계 보전 분야에서도 남북협력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환노위에서 자민련 정우택 의원은 "비무장지대 생태계 및 황해 오염 등의 정확한 실태파악 조사는 남북이 공동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지적한 뒤 "국립공원에 설치할 자연발효식 화장실을 북측에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은 황폐화된 북한의 산림복구 지원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밖에 통일외교통상위에서 민주당 김성호 의원은 "남.북한, 미국, 중국이 참여해온 4자회담은 이제 남북회담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성격이 바뀌어야 할 때"라며 일본과 러시아를 참여시키는 6자회담 추진을 건의했다.

문화관광위의 박종웅 의원은 ''남북문화교류준비단''을 ''남북문화교류심의위원회''로 확대 발전시킬 것을 건의했다.

김형배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