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서울을 답방하기 전 1-2명의 고위인사가 먼저 서울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지난 14일 김대중 대통령이 주최한 답례만찬에서 "남북공동선언에 포함된 사업이 잘 추진되고 한두사람이 먼저 남쪽으로 가서 교류한 다음 (서울 답방시기가) 언제가 좋을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고 박재규 통일부 장관이 21일 기자간담회에서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른 시일 내에 서울을 답방해 달라"는 박 장관의 요청에 대해 이같이 대답했다고 박 장관은 전했다.

박 장관은 "김 위원장이 양측 합의사항의 포괄적 논의를 위한 회의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았다"면서 "장관급 이상의 당국간 회담이 열릴 것임을 시사했다.

박 장관은 또 "남과 북이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큰 틀을 준비중이며 머지 않아 발표할 것"이라며 "당국간 회담은 평양이나 서울, 판문점 등에서 열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전날 국회에서 "남북한간에 법적으로 국군포로는 없다"고 한 것에 대해 "1953년 정전협정에 따른 남북간 포로교환으로 국제법적으로 종결됐다는 의미"라면서 "국방부와 입장이 다르지 않다"고 해명했다.

박 장관은 "정부는 국군포로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면서 이산가족 문제해결 차원에서 북한내 국군포로의 생존여부를 계속 확인, 생존사실이 확인된 국군포로의 송환을 위해 다각적 방법을 통해 노력해 갈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주한미군의 주둔목적이 북한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유지라는 입장을 김 대통령이 전달했으며 이에 대해 김 위원장도 반론을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