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감독원과 수협에 따르면 수협은 최근 금감원의 자산 부채 실사결과 자본잠식 규모가 5천1백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본금(2천1백억원)을 모두 잠식하고도 3천억원이 부족한 것이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수협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최소기준인 6%에 맞추려면 9천7백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관계자는 "실사 결과 수협은 모두 5조원의 여신중 정책자금 대출과 일반여신, 신탁부문 등에서 부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위원회는 이달중 수협의 경영정상화계획을 받아 적정성을 평가한뒤 해양수산부와 협의해 공적자금 지원규모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수협에 국공채와 도로공사 정부지분 등을 출자하는 방식으로 공적자금을 넣어 BIS 비율을 6%선으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정부는 또 수협에 공적자금 투입시 전제조건으로 신용사업을 별도 자회사로 독립시켜 수산부문과의 자금연계를 차단할 방침이다.
그러나 수협은 BIS 비율을 일반은행 수준인 10% 이상으로 높여야 정상화가 가능하다며 1조2천억원 정도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관계자는 "신용사업이 은행들과 경쟁해 영업력을 회복하려면 BIS 비율이 12% 수준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