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南北외무회담 열릴듯 .. 민주주의공동체회의 개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태국이 다음달 방콕에서 열리는 아세안 지역포럼(ARF)에 북한을 공식 초청, 남북한 외무장관이 한자리에서 만나게 됐다.
수린 핏추완 태국 외무장관은 26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민주주의 공동체" 회의에 참석중인 이정빈 외교통상부 장관과 회담을 갖고 "북한의 7월 ARF 가입에 대해 모든 회원국으로부터 찬성 서한을 받았으며 며칠전 백남순 북한 외무상에게 공식 초청 서한을 보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남북한 외무장관의 첫 대좌가 다음달 방콕에서 성사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수린 장관은 또 남북정상회담의 성과에 대한 지지입장을 표명하고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의 아시아지역 공동 의장국으로서 오는 10월의 서울 ASEM 개최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세계 1백8개국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바르샤바에서 개막된 "민주주의 공동체" 회의는 인류가 "뉴 밀레니엄"에 추구할 공동의 가치로서 민주주의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특히 외무장관이 참석한 55개국을 포함해 68개국에서 각료급인사가 대표로 참석,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각국의 관심을 반영했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되는 주제는 크게 네가지다.
민주주의 성공사례 발표, 국제기구에서의 협력방안, 민주주의 위협요인에 대한 대응책,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방안 등이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주목되는 것은 90년대 이후 국제기구를 통해 확산, 공고화된 민주주의 활동이 21세기 외교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민주주의를 하지 않으면 국제사회에서 대접받기 어렵다는 얘기다.
실제로 이번 회의는 90년대 들어 민주주의가 확산되면서 김대중 대통령과 바웬사(폴란드), 하벨(체코), 만델라(남아공) 등 민주지도자들이 선거를 통해 집권한 나라들이 주도했다.
민주주의와 인권을 외교정책의 주요 목표로 내세운 미국과 한국, 폴란드, 체코, 칠레, 인도, 말리 등 7개국이 회의를 공동준비하고 이끌어온 것이다.
반면 민주화정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중국, 이란, 사우디, 싱가포르와 쿠데타가 일어난 파키스탄 피지 등은 초청대상에서 조차 제외됐다.
페루와 아이티는 초청을 받았으나 선거과정의 불투명 논란 때문에 회의 참여가 무산될 뻔했다.
민간단체들도 회의기간중 "세계민주주의포럼"을 바르샤바에서 열어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열기가 고조됐다.
포럼에서는 특히 국제통화기금이나 세계은행 등이 각국에 자금을 제공할때 민주화정도와 열의등을 감안, 차등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키로해 주목을 끌었다.
각국의 실천노력도 잇따르는 분위기다.
미국과 루마니아 등은 유엔인권위에서 민주주의 확산을 위한 결의안 채택 등을 주도했다.
유엔도 "신생및 회복민주주의"를 주제로 회의를 준비중이다.
이번 회의에 대해 "미국식 민주주의"를 내세워 미국이 영향력 확대를 노리고 주도하는 "신국제주의"라는 비탄론도 없지 않다.
그러나 민주와 인권이 인류보편의 기준으로 확산되는 것은 막을수 없는 대세다.
바르샤바(폴란드)=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
수린 핏추완 태국 외무장관은 26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민주주의 공동체" 회의에 참석중인 이정빈 외교통상부 장관과 회담을 갖고 "북한의 7월 ARF 가입에 대해 모든 회원국으로부터 찬성 서한을 받았으며 며칠전 백남순 북한 외무상에게 공식 초청 서한을 보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남북한 외무장관의 첫 대좌가 다음달 방콕에서 성사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수린 장관은 또 남북정상회담의 성과에 대한 지지입장을 표명하고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의 아시아지역 공동 의장국으로서 오는 10월의 서울 ASEM 개최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세계 1백8개국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바르샤바에서 개막된 "민주주의 공동체" 회의는 인류가 "뉴 밀레니엄"에 추구할 공동의 가치로서 민주주의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특히 외무장관이 참석한 55개국을 포함해 68개국에서 각료급인사가 대표로 참석,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각국의 관심을 반영했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되는 주제는 크게 네가지다.
민주주의 성공사례 발표, 국제기구에서의 협력방안, 민주주의 위협요인에 대한 대응책,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방안 등이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주목되는 것은 90년대 이후 국제기구를 통해 확산, 공고화된 민주주의 활동이 21세기 외교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민주주의를 하지 않으면 국제사회에서 대접받기 어렵다는 얘기다.
실제로 이번 회의는 90년대 들어 민주주의가 확산되면서 김대중 대통령과 바웬사(폴란드), 하벨(체코), 만델라(남아공) 등 민주지도자들이 선거를 통해 집권한 나라들이 주도했다.
민주주의와 인권을 외교정책의 주요 목표로 내세운 미국과 한국, 폴란드, 체코, 칠레, 인도, 말리 등 7개국이 회의를 공동준비하고 이끌어온 것이다.
반면 민주화정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중국, 이란, 사우디, 싱가포르와 쿠데타가 일어난 파키스탄 피지 등은 초청대상에서 조차 제외됐다.
페루와 아이티는 초청을 받았으나 선거과정의 불투명 논란 때문에 회의 참여가 무산될 뻔했다.
민간단체들도 회의기간중 "세계민주주의포럼"을 바르샤바에서 열어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열기가 고조됐다.
포럼에서는 특히 국제통화기금이나 세계은행 등이 각국에 자금을 제공할때 민주화정도와 열의등을 감안, 차등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키로해 주목을 끌었다.
각국의 실천노력도 잇따르는 분위기다.
미국과 루마니아 등은 유엔인권위에서 민주주의 확산을 위한 결의안 채택 등을 주도했다.
유엔도 "신생및 회복민주주의"를 주제로 회의를 준비중이다.
이번 회의에 대해 "미국식 민주주의"를 내세워 미국이 영향력 확대를 노리고 주도하는 "신국제주의"라는 비탄론도 없지 않다.
그러나 민주와 인권이 인류보편의 기준으로 확산되는 것은 막을수 없는 대세다.
바르샤바(폴란드)=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