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공공기관에서 2만4000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공공기관 청년인턴은 2만1000명가량 뽑을 계획이다.김윤상 기획재정부 2차관은 14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2025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에 참석해 "올해 공공기관들이 약 2만4000명을 신규로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기재부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들에게 채용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자리로, 16일까지 3일간 진행된다. 한국전력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143개 기관이 참여한다.올해는 기관별 채용 설명회 외에도 고졸채용 전용 상담 부스, 구직자가 면접자에게 역질문하는 '리버스 공개 모의면접'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김 차관은 이날 개회사에서 "(올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 숫자)는 작년 목표(2만4000명)와 같은 수치이지만 지정 공공기관 수가 줄어든 것(347개→327개)을 감안하면, 여러 공공기관이 어려운 경영환경에서도 씀씀이와 군살을 줄이고 조직과 인력을 효율화함으로써 핵심 업무의 채용 여력을 늘렸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이어 "공공기관 청년인턴도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2만1000명을 채용할 계획"이라며 "특히 청년들의 수요가 많은 6개월 인턴은 1만2000명, 채용형 인턴은 4000명으로 확대함으로써 정규직 채용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김 차관은 "올해부터는 신규 채용 인원 중 고졸자 비율을 높이도록 했다"며 "정부는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시 기관들의 신규 채용 확대 노력을 반영할 예정이며, 공공기관의 이런 노력이 능력 중심의 채용문화를 확산시키고 민간기업의 채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유통기한이 임박한 ‘떨이 상품’ 매출이 뛰고 있다. 품질보다는 가성비를 우선하는 불황형 소비가 확산하는 것이다.롯데홈쇼핑은 유통기한 임박, 리퍼, 전시상품을 초저가에 판매하는 온라인 전문관 ‘창고털이’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14일 발표했다. 롯데홈쇼핑이 2017년부터 운영하고 이는 창고털이는 TV홈쇼핑 전시상품,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 이월 상품 등을 최대 90% 할인해 판매하는 실속 상품 전문관이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주문액이 연평균 45% 늘었고, 지난해의 경우 전년 대비 주문건수가 40% 증가했다.특히 품질에 문제가 없는 유통기한 임박 상품의 수요가 높다.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히말라야 너리싱 수분크림을 70% 할인 판매하자 850건 이상의 주문이 몰렸다는 게 롯데홈쇼핑 측 설명이다. 이외에도 1+1 캡슐커피, 냉동 체리 등 소비기한 임박 상품도 조기 동났다.떨이 상품이 불티나게 팔리면서 고객과 파트너사 모두 ‘윈윈’하고 있다. 고객 입장에서는 좋은 품질의 물건을 싸게 살 수 있고, 파트너사는 재고를 빠르게 소진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롯데홈쇼핑은 올해도 불황형 소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패션, 리빙, 식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매월 200여개 상품을 할인 판매할 예정이다. 이달 창고털이에서는 방송이 종료된 겨울 의류를 집중적으로 판매한다. 안나수이의 울 재킷과 팬츠를 최대 79% 할인한다. 방송 전시 상품으로 사용된 실리트 거품기, 국자 등을 7000원대, 포트메리온의 접시, 밥공기 등을 1만원대에 판매한다.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고교 무상교육에 대한 국비 지원 기한을 3년 연장하는 내용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여야 합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지방에서 자체적으로 소요 재원을 부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최 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했다. 최 대행이 대통령의 법률안 거권을 행사한 것은 지난달 31일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에 이어 세 번째다.최 대행이 거부권을 쓴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은 고등학교 전 학년 무상교육에 들어가는 예산의 47.5%를 중앙정부가 2027년까지 3년 더 부담하게 하는 내용이다. 앞서 문재인 정부와 당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특례조항을 통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정부와 시·도 교육청이 고교 무상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의 47.5%씩을 각각 지원하고, 나머지 5%는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게 했다. 특례조항은 지난해 말로 종료될 예정이었지만, 지원 기간을 3년 연장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지난달 31일 민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했다.최 대행은 거부권 행사의 이유로 두 가지를 제시했다. 우선 여야의 충분한 협의가 없었다는 점이다. 최 대행은 "국가 비용 분담 3년 연장 및 분담 비율을 순차적으로 감축하는 대안이 제시됐음에도 충분한 논의 없이 개정안이 통과됐다"며 "입법 과정에서 보다 충분한 협의와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또 "무상교육에 대한 국비 추가 지원에 대해서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