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마늘협상' 29일부터 재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 중국과 ''마늘문제''로 불거진 양국간 통상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오는 29일부터 이틀간 베이징에서 통상협상을 재개키로 합의했다고 27일 밝혔다.
외교통상부의 정의용 조정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양국이 마늘문제로 인한 통상 분쟁을 조속히 마무리한다는 원칙아래 협상을 재개키로 했다"고 밝혔다.
정 조정관은 "이번에는 협상 대표가 심의관에서 국장급으로 한 단계 격상됐을 뿐 아니라 양국이 그동안 비공식적 채널을 통해 충분한 사전교감을 나눈 만큼 협상이 전격 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협상에는 외교통상부와 재정경제부, 산업자원부, 농림부 등 유관 부처 관계자 5-6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이번 협상에서는 양국이 각각 발동했던 수입제한조치를 철회하거나 완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측 협상대표인 최종화 외교부 지역통상국장은 "중국측이 국산 핸드폰단말기 및 폴리에틸렌(PE)에 대한 금수조치를 철회토록 요구하는 한편 우리쪽에서는 중국산 수입마늘에 대한 고율의 관세(3백15%)를 하향 조정하는 안을 내놓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 국장은 또 "중국측에 마늘 대신 다른 농산물 수입을 늘리는 방안도 제안했으나 중국측이 "마늘문제는 마늘로 푼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어 관세인하가 거의 유일한 협상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될 경우 정부는 중국에 무리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발동, 핸드폰 단말기 및 PE업계에 ''불필요한'' 피해를 줬다는 비난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또 시민단체들과 국내 농가로부터는 정당한 조치를 취하고도 중국측의 무역보복 조치에 굴했다는 비난을 받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이와 관련, 정 조정관은 "농민들과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에서 협상안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이미 중국측과 상당한 교감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국내 핸드폰 단말기 및 PE업계는 지난 7일 중국이 잠정 수입금지 조치를 발동한 후 수출계약 취소와 선적물량 반송등으로 하루 평균 5백20만달러(약 57억원)의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
외교통상부의 정의용 조정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양국이 마늘문제로 인한 통상 분쟁을 조속히 마무리한다는 원칙아래 협상을 재개키로 했다"고 밝혔다.
정 조정관은 "이번에는 협상 대표가 심의관에서 국장급으로 한 단계 격상됐을 뿐 아니라 양국이 그동안 비공식적 채널을 통해 충분한 사전교감을 나눈 만큼 협상이 전격 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협상에는 외교통상부와 재정경제부, 산업자원부, 농림부 등 유관 부처 관계자 5-6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이번 협상에서는 양국이 각각 발동했던 수입제한조치를 철회하거나 완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측 협상대표인 최종화 외교부 지역통상국장은 "중국측이 국산 핸드폰단말기 및 폴리에틸렌(PE)에 대한 금수조치를 철회토록 요구하는 한편 우리쪽에서는 중국산 수입마늘에 대한 고율의 관세(3백15%)를 하향 조정하는 안을 내놓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 국장은 또 "중국측에 마늘 대신 다른 농산물 수입을 늘리는 방안도 제안했으나 중국측이 "마늘문제는 마늘로 푼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어 관세인하가 거의 유일한 협상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될 경우 정부는 중국에 무리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발동, 핸드폰 단말기 및 PE업계에 ''불필요한'' 피해를 줬다는 비난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또 시민단체들과 국내 농가로부터는 정당한 조치를 취하고도 중국측의 무역보복 조치에 굴했다는 비난을 받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이와 관련, 정 조정관은 "농민들과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에서 협상안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이미 중국측과 상당한 교감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국내 핸드폰 단말기 및 PE업계는 지난 7일 중국이 잠정 수입금지 조치를 발동한 후 수출계약 취소와 선적물량 반송등으로 하루 평균 5백20만달러(약 57억원)의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