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 연구팀, 소행성 지도 만들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9백여개에 달하는 소행성의 좌표를 계산해 소행성 지도를 만들었다고 미국 CNN방송이 28일 보도했다.
연구를 주도한 미국 코넬대 천문학자 윌리엄 보트케는 "소행성의 위치를 추적,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지도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직경 1Km 이상인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경우 먼지와 파편이 대기를 뒤덮고 태양열을 차단해 대부분의 생물이 멸종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는 지구가 불덩어리로 바뀔 수도 있다.
보트케는 "당장은 아니지만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한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6천5백만년전 지구와 충돌,공룡을 비롯한 동식물을 멸종시킨 소행성의 크기는 10Km 정도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대부분의 소행성들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지만 소행성간의 충돌로 궤도를 이탈,50만~1백만년마다 1차례씩 지구와 충돌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와 근접해 있는 소행성 중 큰 것은 직경이 64Km 에 이른다.
소행성 지도는 연구팀의 논문과 함께 지난주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뉴욕연합>
연구를 주도한 미국 코넬대 천문학자 윌리엄 보트케는 "소행성의 위치를 추적,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지도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직경 1Km 이상인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경우 먼지와 파편이 대기를 뒤덮고 태양열을 차단해 대부분의 생물이 멸종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는 지구가 불덩어리로 바뀔 수도 있다.
보트케는 "당장은 아니지만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한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6천5백만년전 지구와 충돌,공룡을 비롯한 동식물을 멸종시킨 소행성의 크기는 10Km 정도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대부분의 소행성들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지만 소행성간의 충돌로 궤도를 이탈,50만~1백만년마다 1차례씩 지구와 충돌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와 근접해 있는 소행성 중 큰 것은 직경이 64Km 에 이른다.
소행성 지도는 연구팀의 논문과 함께 지난주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뉴욕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