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인터넷업계 화두중의 하나는 중국이다.

웬만한 벤처업체 사장들을 만나면 중국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는 말을 빼놓지 않는다.

중국진출을 선언한 업체수만도 1백여개가 훨씬 넘는다.

그러나 이들 업체들의 고민은 중국을 정작 잘 알지 못한다는데 있다.

그래서 사전준비 없이 섣부르게 중국진출을 추진한 업체들은 돈만 낭비하고 돌아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문제는 이런 시행착오가 업계는 물론 정부차원에서도 계속 확대재생산 되고 있다는데 있다.

지난 5월 벤처기업협회가 베이찡에서 주최한 한.중벤처포럼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당시 국내에서는 내로라하는 벤처기업가들과 중소기업청장이 포럼에 참석했다.

중국에서도 고위급 임원과 벤처기업인들이 대거 참석키로 했었다.

그러나 정작 행사장에 나온 대부분의 사람들은 벤처기업인들이 아닌 주최측이 동원한 대학생들이었다.

국내 중소기업청장의 파트너로 나온 중국측 관료는 과학기술부 과장급 인사였다.

중국의 대행업체만 믿은게 화근이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부가 베이찡에서 연 "한.중IT벤처포럼"이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이 행사는 정통부가 지난달 19일 베이찡에서 열린 중국비즈니스지원센터 개소식에 맞춰 행사 한달전부터 기획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장관이 참석하는 행사에 투자설명회를 같이 열어 행사를 빛내보자는게 정통부의 취지였다.

그래서 부랴부랴 업계에 도움을 요청해 참가단을 구성했다.

그러나 이 행사 역시 "빛좋은 개살구"가 되고 말았다.

우리측 업체는 40여개가 참석했으나 중국측에서는 10여개의 회사만 나왔다.

첫 발표기업으로 내정된 "중국전신"은 통보도 없이 불참했다.

전시장에 부스를 설치한 중국기업도 단 1개에 불과했다.

행사에 참여했던 한 회사 관계자는 "정통부 행사에 기업들이 들러리를 선 느낌"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요즘 정부나 인터넷 업계는 모두 중국에 대한 "짝사랑"에 열병을 앓고있다.

그래서 모든 것이 조급하다.

중국진출을 위한 각종 사업을 너무 쉽게 기획하고 남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 IT시장은 이미 선진국 거대자본의 격전장이 된 상태다.

우리 벤처기업의 진출에 크게 신경쓸 이유가 없다.

따라서 진출하기도 어렵고 성공하기는 더더욱 어렵다.

업계와 정부차원의 거시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태완 정보과학부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