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 건강보조식품 : 시장 급속 팽창...체계적 관리 절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건강보조식품 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8월부터 본격시행될 의약분업으로 이 시장에서 약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약국은 의약분업 시행으로 의약품의 매출 감소분을 건강식품 판매로 보전하려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작년 전체 건식시장의 12%를 차지했던 약국시장은 내년말께는 40~50%로 확대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그동안 건식시장은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가 전체시장의 80%선을 장악해왔다.
이에따라 최근들어 일동제약 일양약품 대웅제약 태평양제약 서울제약 등이 건식시장에 신규 진출했거나 기존사업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이는 <>그동안 마진 폭이 상대적으로 컸던 방문판매 다단계판매형태의 건강보조식품의 가격 거품을 빼고 <>제약사들이 건식의 유통단계를 줄여 수익성과 약국에 대한 유통 장악력을 높이며 <>의약분업으로 인한 약사들의 수입감소를 메워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노린다는 차원에서 제약회사로서도 긍정적인 전략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의약품 오남용이 건강보조식품 오남용으로 옮겨갈 경우 문제가 적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건강보조식품은 "의약품과 식품의 경계선상"에 있다.
의약품은 의사 약사들이 연구도 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수시로 체크하지만 건강보조식품은 판매자나 일부 저명인사의 일방적인 설득과 주장에 따라 판매실적이 왔다갔다하는 실정이다.
보다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IMF체제 여파로 침체했던 건강식품시장은 작년 상반기부터 회복세로 돌아서 작년에는 40.4%나 성장,제품검사실적 기준으로 연 8천7백29억원의 매출을 형성했다.
또 이중 국산제품은 33.2% 성장한 7천2백50억원의 생산실적을 올린 반면 수입제품은 90.8%나 폭증한 1천4백77억원어치가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갈수록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리는 허술해 국산 제품은 불신하고 수입품을 선호하는 정서가 깊게 깔려있음을 말해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검찰 지방자치단체 위생과 공정거래관리위원회 소비자보호원 등이 수시로 과대광고에다 폭리를 취한 건강보조식품회사를 적발,제재를 가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소비자들이 건강식품이나 기능성 식품을 구입할 때 엄연히 효과를 따지며 구입하고 있는 만큼 <>영양소 구성비율 <>함유성분과 함량 <>유효한 효과를 기대할수 있는 기준함량 <>함유성분이 나타낼수 있는 부작용 등이 제품이 명기되는 방향으로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식품공전에 의거한 규정대로 허가를 내주다보니 새로운 성분과 형태를 지닌 건강보조식품이 아무리 좋은 효능을 인정받아도 시판 허가를 받기 어려운게현실이다.
따라서 이를 유연하게 푸는 대신 효능 부작용등을 합리적인 잣대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설정돼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약국은 의약분업 시행으로 의약품의 매출 감소분을 건강식품 판매로 보전하려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작년 전체 건식시장의 12%를 차지했던 약국시장은 내년말께는 40~50%로 확대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그동안 건식시장은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가 전체시장의 80%선을 장악해왔다.
이에따라 최근들어 일동제약 일양약품 대웅제약 태평양제약 서울제약 등이 건식시장에 신규 진출했거나 기존사업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이는 <>그동안 마진 폭이 상대적으로 컸던 방문판매 다단계판매형태의 건강보조식품의 가격 거품을 빼고 <>제약사들이 건식의 유통단계를 줄여 수익성과 약국에 대한 유통 장악력을 높이며 <>의약분업으로 인한 약사들의 수입감소를 메워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노린다는 차원에서 제약회사로서도 긍정적인 전략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의약품 오남용이 건강보조식품 오남용으로 옮겨갈 경우 문제가 적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건강보조식품은 "의약품과 식품의 경계선상"에 있다.
의약품은 의사 약사들이 연구도 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수시로 체크하지만 건강보조식품은 판매자나 일부 저명인사의 일방적인 설득과 주장에 따라 판매실적이 왔다갔다하는 실정이다.
보다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IMF체제 여파로 침체했던 건강식품시장은 작년 상반기부터 회복세로 돌아서 작년에는 40.4%나 성장,제품검사실적 기준으로 연 8천7백29억원의 매출을 형성했다.
또 이중 국산제품은 33.2% 성장한 7천2백50억원의 생산실적을 올린 반면 수입제품은 90.8%나 폭증한 1천4백77억원어치가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갈수록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리는 허술해 국산 제품은 불신하고 수입품을 선호하는 정서가 깊게 깔려있음을 말해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검찰 지방자치단체 위생과 공정거래관리위원회 소비자보호원 등이 수시로 과대광고에다 폭리를 취한 건강보조식품회사를 적발,제재를 가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소비자들이 건강식품이나 기능성 식품을 구입할 때 엄연히 효과를 따지며 구입하고 있는 만큼 <>영양소 구성비율 <>함유성분과 함량 <>유효한 효과를 기대할수 있는 기준함량 <>함유성분이 나타낼수 있는 부작용 등이 제품이 명기되는 방향으로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식품공전에 의거한 규정대로 허가를 내주다보니 새로운 성분과 형태를 지닌 건강보조식품이 아무리 좋은 효능을 인정받아도 시판 허가를 받기 어려운게현실이다.
따라서 이를 유연하게 푸는 대신 효능 부작용등을 합리적인 잣대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설정돼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