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고대 과별모집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가 오는 2002년 입시에서 철학 등 기초인문학 분야의 경우 학과별 모집을 실시하고 교육부가 이를 허용할 방침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부가 이들 대학에 ''두뇌한국(BK)21'' 사업참여 자금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내건 ''모집단위 광역화'' 원칙을 깨고 수험생들에게 혼란을 줄수 있기 때문이다.
1일 교육부에 따르면 2002학년도 입시에서 서울대는 모집단위를 7계열,연세대와 고려대는 각 4계열로 광역화한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이들 대학은 최근 기초학문 관련학과의 경우 정원의 20∼30% 범위내에서 학과별 모집을 허용해 달라고 교육부에 요청했다.
서울대는 정시모집에서 일부 학과별 모집을,연세대는 1학기 수시모집에서 학과별로 30% 정도를,고려대도 정시 및 수시모집에서 학과별로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이다.
이들 대학은 모집단위를 광역화해 학생을 선발한 뒤 전공학과를 선택하게 하면 인문대의 경우 영문학과 등 인기학과를 제외하고는 지원자가 거의 없어 인문학이 붕괴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모집단위 광역화라는 전체 틀을 유지하되 기초학문 육성을 위해 학과별 모집을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
교육부가 이들 대학에 ''두뇌한국(BK)21'' 사업참여 자금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내건 ''모집단위 광역화'' 원칙을 깨고 수험생들에게 혼란을 줄수 있기 때문이다.
1일 교육부에 따르면 2002학년도 입시에서 서울대는 모집단위를 7계열,연세대와 고려대는 각 4계열로 광역화한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이들 대학은 최근 기초학문 관련학과의 경우 정원의 20∼30% 범위내에서 학과별 모집을 허용해 달라고 교육부에 요청했다.
서울대는 정시모집에서 일부 학과별 모집을,연세대는 1학기 수시모집에서 학과별로 30% 정도를,고려대도 정시 및 수시모집에서 학과별로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이다.
이들 대학은 모집단위를 광역화해 학생을 선발한 뒤 전공학과를 선택하게 하면 인문대의 경우 영문학과 등 인기학과를 제외하고는 지원자가 거의 없어 인문학이 붕괴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모집단위 광역화라는 전체 틀을 유지하되 기초학문 육성을 위해 학과별 모집을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