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자구안을 둘러싼 채권단과 현대간 협의가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6일 발표될 예정이던 현대 자구안은 정부와 채권단의 강도높은 요구로 막판 협의과정에서 그 내용이 일부 수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위원회는 이번에는 현대 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

현대가 자동차의 계열분리를 위해 정주영 전 명예회장의 지분 9.1%중 6.1%(3%가 분리요건)를 의결권포기 각서와 함께 채권단에 맡기는 방안을 제시하자 확실하게 팔지 않으면 받아들일수 없다고 거절한 것도 이같은 의지에서다.

금감위 관계자는 "현대가 확실한 자구계획을 내놓더라도 채권단은 기존 회사채와 기업어음을 연장해 주는 선에 그칠 뿐 신규자금지원은 어렵다"며 현대의 성의있는 자구노력을 촉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현대자동차와 중공업의 조기계열분리및 현대건설의 유동성확충문제는 어느 정도 가닥을 잡아가고 있지만 정몽헌 회장의 계열사 지분매각과 일부 문제있는 전문경영인 퇴진문제를 놓고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 조기 계열분리 =자동차 계열분리는 채권단에 정주영 전명예회장의 자동차 지분 9.1%중 6.1% 이상을 매각하는 방향으로 협의가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 구조조정위는 6.1%의 지분을 의결권포기 각서와 함께 채권단에 맡기겠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공정거래위원회와 채권단이 이를 거부, 이같이 입장으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오는 2003년까지로 돼있던 중공업 계열분리시기는 내년말까지로 앞당기기로 했다.

현대 관계자는 "채권단이 올해말까지로 앞당길 것을 요청해 왔지만 중공업의 타계열사 지급보증이 1조원을 넘는데다 현대건설과 현대상선의 보유지분을 처분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이같이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 현대건설 자구안 =채권단이 유가증권 조기매각을 통해 유동성을 확실하게 확보하는 방안을 요구함에 따라 현대건설이 갖고 있는 상장및 비상장 계열사 주식매각일정과 매각방법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이를 위해 당초 교환사채를 발행할 예정이었던 현대중공업 보유지분 전량(6.93%.5백26만8천주)을 조기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현대강관(5백55만주) 고려산업개발(2백35만주) 등 상장주식은 9월이전, 현대정유(1천1백23만주)와 현대석유화학(1천2백35만주) 등 비상장주식은 4.4분기중 국내외 기관투자가에 매각키로 했다.

현대상선 주식(2백46만주)을 담보로 1천억원 규모의 교환사채 발행도 추진키로 했다.

<> 지배구조개선 =채권단이 정몽헌 회장의 계열사 소유지분을 모두 매각할 것을 요구, 일괄타결안 마련에 상당한 진통을 겪을 전망이다.

현대는 정 회장이 이미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만큼 정 회장의 지분매각은 대주주의 사재출연과 다를 것이 없다며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현대는 3부자 퇴진에 대해서는 정부나 채권단으로부터 요청받은 것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문희수 기자 m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