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환자 내몰고 癌환자 거부 .. 진료차질/수술연기 속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에 이어 전공의 과정을 마친 전임의까지 파업에 돌입한 7일 대학병원 등 대형병원에서 외래진료가 차질을 빚고 수술이 연기되는 등 심각한 진료공백 사태가 벌어졌다.
신규 입원은 응급환자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중단됐다.
환자들은 전임의 파업이 계속될 경우 지난 6월의 대규모 ''의료대란''이 재발하지 않을까 우려했다.
시민단체들은 "환자를 볼모로 한 폐업은 더이상 안된다"며 "정부와 의·약계는 빨리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진료대란=전임의협의회 집계에 따르면 7일 오전 8시를 기해 전국 31개 의과대학의 44개 대형병원 1천3백여명의 전임의들이 파업에 돌입했다.
고려대안산병원과 충남 건양대병원 전임의들만 사표를 제출하고도 진료를 계속했다.
이들 병원의 전공의들은 지난달 29일부터 1주일 넘게 파업을 계속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전임의 1백80명이 파업,교수 2백60명이 진료를 전담했다.
이에따라 7일부터 수술실이 비상체제에 들어갔으며 외래병동에서는 예약환자만 진료했다.
전임의 1백31명이 파업한 신촌세브란스병원은 전공의와 전임의가 자원봉사형태로 응급실 분만실 중환자실 등을 회진했으나 예약환자 등 외래진료에는 차질이 빚어졌다.
특히 수술이 평소의 80건에서 12건으로 줄어들었고 병상가동률도 65%로 뚝 떨어졌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달 29일부터 전공의 4백30명이 파업한데 이어 전임의 1백24명이 파업에 돌입,수술건수가 평소 5분의 1인 21건으로 줄었고 병상가동률도 64.2%로 감소했다.
서울중앙병원은 지난 4일부터 5백여명에 달하는 외래환자들의 예약을 취소했으며 7일부터는 신규예약을 중단했다.
일부 병원에서는 응급실에 들어와 있는 환자에게까지 나가라고 종용하는가 하면 암증세를 보이는 환자를 거부,환자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국립의료원 등 국·공립병원도 전공의 파업이 1주일을 넘기면서 진료가 파행을 겪고 있다.
다소 누그러들던 동네의원 폐업도 다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부산 대구 전남지역 동네의원들이 8,9일중 폐업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여 폐업지역이 서울 인천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전북 등 7개 지역에서 10개 지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전국의대 4학년협의회는 7일 찬반투표를 실시,36개 의대 4학년들의 2학기 학사일정을 거부키로 결의했다.
◆환자와 시민단체의 불만=경희의료원에 입원중인 박모(74)씨는 " 6월에 입원한 뒤 1차 파업으로 수술을 연기해오다 지난달 11일 수술을 받고 입원중인데 또 파업을 벌여 불안해 견딜 수 없다"고 걱정했다
시민단체협의회 서경석 사무총장은 "장관이 바뀐 만큼 복지부가 나서 임의·대체조제 근절을 위한 전문적 토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진료대란 대책=복지부는 국·공립병원의 비상진료체제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이에따라 국·공립병원과 보건소가 평일 오후 10시까지,토요일과 공휴일에는 오후 6시까지 진료하게 된다.
한방병원 한의원 약국 등의 진료와 영업시간도 똑같이 연장했다.
전국의 군(軍)병원 19개소도 일반 국민에게 개방토록 했다.
응급의료정보센터(1339번)나 119구급대에 대해서는 정상진료중인 병·의원을 안내토록 했다.
김도경 기자 infofest@hankyung.com
신규 입원은 응급환자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중단됐다.
환자들은 전임의 파업이 계속될 경우 지난 6월의 대규모 ''의료대란''이 재발하지 않을까 우려했다.
시민단체들은 "환자를 볼모로 한 폐업은 더이상 안된다"며 "정부와 의·약계는 빨리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진료대란=전임의협의회 집계에 따르면 7일 오전 8시를 기해 전국 31개 의과대학의 44개 대형병원 1천3백여명의 전임의들이 파업에 돌입했다.
고려대안산병원과 충남 건양대병원 전임의들만 사표를 제출하고도 진료를 계속했다.
이들 병원의 전공의들은 지난달 29일부터 1주일 넘게 파업을 계속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전임의 1백80명이 파업,교수 2백60명이 진료를 전담했다.
이에따라 7일부터 수술실이 비상체제에 들어갔으며 외래병동에서는 예약환자만 진료했다.
전임의 1백31명이 파업한 신촌세브란스병원은 전공의와 전임의가 자원봉사형태로 응급실 분만실 중환자실 등을 회진했으나 예약환자 등 외래진료에는 차질이 빚어졌다.
특히 수술이 평소의 80건에서 12건으로 줄어들었고 병상가동률도 65%로 뚝 떨어졌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달 29일부터 전공의 4백30명이 파업한데 이어 전임의 1백24명이 파업에 돌입,수술건수가 평소 5분의 1인 21건으로 줄었고 병상가동률도 64.2%로 감소했다.
서울중앙병원은 지난 4일부터 5백여명에 달하는 외래환자들의 예약을 취소했으며 7일부터는 신규예약을 중단했다.
일부 병원에서는 응급실에 들어와 있는 환자에게까지 나가라고 종용하는가 하면 암증세를 보이는 환자를 거부,환자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국립의료원 등 국·공립병원도 전공의 파업이 1주일을 넘기면서 진료가 파행을 겪고 있다.
다소 누그러들던 동네의원 폐업도 다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부산 대구 전남지역 동네의원들이 8,9일중 폐업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여 폐업지역이 서울 인천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전북 등 7개 지역에서 10개 지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전국의대 4학년협의회는 7일 찬반투표를 실시,36개 의대 4학년들의 2학기 학사일정을 거부키로 결의했다.
◆환자와 시민단체의 불만=경희의료원에 입원중인 박모(74)씨는 " 6월에 입원한 뒤 1차 파업으로 수술을 연기해오다 지난달 11일 수술을 받고 입원중인데 또 파업을 벌여 불안해 견딜 수 없다"고 걱정했다
시민단체협의회 서경석 사무총장은 "장관이 바뀐 만큼 복지부가 나서 임의·대체조제 근절을 위한 전문적 토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진료대란 대책=복지부는 국·공립병원의 비상진료체제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이에따라 국·공립병원과 보건소가 평일 오후 10시까지,토요일과 공휴일에는 오후 6시까지 진료하게 된다.
한방병원 한의원 약국 등의 진료와 영업시간도 똑같이 연장했다.
전국의 군(軍)병원 19개소도 일반 국민에게 개방토록 했다.
응급의료정보센터(1339번)나 119구급대에 대해서는 정상진료중인 병·의원을 안내토록 했다.
김도경 기자 infof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