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경제팀이 예금보호한도 확대를 검토하는 등 개혁의 줄기를 바꾸는 정책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일각에선 금융정책의 혼선이나 개혁의 후퇴가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저금리와 재정긴축이라는 거시 기조는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8일 금융계에 따르면 진념 신임 재정경제부 장관이 지난 7일 기자간담회에서 내년부터 2천만원으로 축소되는 예금보호한도를 상향 조정하는 문제를 거론함에 따라 정책기조가 바뀔지 모른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부 부실 금융기관들은 정부가 예정대로 예금보호한도를 2천만원으로 축소할 경우 금융기관간 예금이동이 심해져 자금시장 안정이 위협받을 것이라며 시기를 늦추거나 한도를 확대해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특히 진 장관이 부실 금융기관을 금융지주회사로 묶지 않겠다고 밝혀 향후 금융정책방향이 달라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KDI의 한 관계자는 "예금부분보장제와 금융지주회사제는 금융개혁의 큰 줄기였다"며 "개혁의 후퇴가 아닌가"라고 우려했다.

그렇지만 거시경제정책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진 장관은 "현재의 경기는 급상승한 후 조정국면에 있다"면서 "저물가-저금리-재정긴축이라는 틀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현철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