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국가사업 유치 '혈안' .. 빈약한 재정 국고서 충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울산시와 포항시는 각각 공업역사박물관과 철강박물관 건립을 국립사업으로 추진하는 등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전략사업 유치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또 첨단지능형 교통시스템(ITS)사업의 모델도시로 선정되기 위해 영남권 지자체간의 유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이 줄면서 지역현안을 국가시행사업으로 지정받아 재정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울산시는 지난해 울산을 방문한 김대중 대통령으로부터 국립공업역사박물관 사업의 필요성을 인정받아 올해 8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았다.
경북 포항시는 산업자원부에 국립 철강박물관 건립에 필요한 국비 2백50억원과 철강엑스포 개최비 45억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문화도시인 경주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 국가전략사업인 경마장 건설과 태권도 공원의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문화재 훼손 문제로 표류하고 있는 경마장 건설사업을 앞당겨 추진해야 한다고 중앙정부에 요구하고 있으며 시민단체들도 이에 적극 동참,경마장 건설의 필요성을 알리는 대규모 시위도 벌였다.
경주시는 또 양북면 장항리 1백10만여평을 태권도 공원 후보지로 지정,유치 제안서를 문화관광부에 최근 제출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또 첨단지능형 교통시스템(ITS)사업의 모델도시로 선정되기 위해 영남권 지자체간의 유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이 줄면서 지역현안을 국가시행사업으로 지정받아 재정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울산시는 지난해 울산을 방문한 김대중 대통령으로부터 국립공업역사박물관 사업의 필요성을 인정받아 올해 8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았다.
경북 포항시는 산업자원부에 국립 철강박물관 건립에 필요한 국비 2백50억원과 철강엑스포 개최비 45억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문화도시인 경주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 국가전략사업인 경마장 건설과 태권도 공원의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문화재 훼손 문제로 표류하고 있는 경마장 건설사업을 앞당겨 추진해야 한다고 중앙정부에 요구하고 있으며 시민단체들도 이에 적극 동참,경마장 건설의 필요성을 알리는 대규모 시위도 벌였다.
경주시는 또 양북면 장항리 1백10만여평을 태권도 공원 후보지로 지정,유치 제안서를 문화관광부에 최근 제출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