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수혈/판로개척등 전방위 지원...부실社 어떻게 살리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구조조정 사업은 ''병든 기업에 대한 응급처리 및 재활훈련''이다.
이 사업은 신주인수 자금대출 등을 통해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자금을 대주는 게 일반적인 방식이다.
이밖에 직접적인 자금지원 없이 기업내 사업부를 정리하거나 다른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시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도 이용된다.
구조조정 전문회사들은 주식·전환사채 인수,부실채권 매입,영업·자산 매입 등의 방식으로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자금을 쏟는다.
이를 통해 부도·화의·법정관리중인 기업이나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을 정상화시켜 매각함으로써 수익을 올린다.
이 과정에서 복합적인 금융기법이 적용되기도 한다.
KTB네트워크가 지난해말 ''KTB 1호 기업구조조정조합''을 통해 투자한 코리아PTG가 대표적인 사례.
당시 KTB네트워크는 산업은행,일본 미쓰이,삼성벤처투자와 공동으로 자본금 4백50억원 규모의 코리아PTG를 설립한 뒤 신화건설의 자회사인 신화유화를 1억달러에 인수했다.
인수방식은 신화건설이 신화유화를 합병한 뒤 제품생산에 필요한 자산과 부채만을 이전해주는 P&A(자산부채이전)방식을 택했다.
이를 통해 코리아PTG는 신화유화가 가지고 있던 관계사에 대한 대규모 지급보증을 모두 해소했고 신화건설은 자회사 매각을 통해 유입된 자금으로 부채를 상환,재무구조를 개선하는 효과를 거뒀다.
또 코리아PTG에 참여한 주주회사들은 단순한 자본참여를 넘어 경영지원 추가자금조달 마케팅 판로구축 수익구조개선 등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한편 구조조정 사업이 주목을 받으면서 여러가지 보완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우선 구조조정조합에 참여하는 금융기관들이 단기적인 수익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사업은 신주인수 자금대출 등을 통해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자금을 대주는 게 일반적인 방식이다.
이밖에 직접적인 자금지원 없이 기업내 사업부를 정리하거나 다른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시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도 이용된다.
구조조정 전문회사들은 주식·전환사채 인수,부실채권 매입,영업·자산 매입 등의 방식으로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자금을 쏟는다.
이를 통해 부도·화의·법정관리중인 기업이나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을 정상화시켜 매각함으로써 수익을 올린다.
이 과정에서 복합적인 금융기법이 적용되기도 한다.
KTB네트워크가 지난해말 ''KTB 1호 기업구조조정조합''을 통해 투자한 코리아PTG가 대표적인 사례.
당시 KTB네트워크는 산업은행,일본 미쓰이,삼성벤처투자와 공동으로 자본금 4백50억원 규모의 코리아PTG를 설립한 뒤 신화건설의 자회사인 신화유화를 1억달러에 인수했다.
인수방식은 신화건설이 신화유화를 합병한 뒤 제품생산에 필요한 자산과 부채만을 이전해주는 P&A(자산부채이전)방식을 택했다.
이를 통해 코리아PTG는 신화유화가 가지고 있던 관계사에 대한 대규모 지급보증을 모두 해소했고 신화건설은 자회사 매각을 통해 유입된 자금으로 부채를 상환,재무구조를 개선하는 효과를 거뒀다.
또 코리아PTG에 참여한 주주회사들은 단순한 자본참여를 넘어 경영지원 추가자금조달 마케팅 판로구축 수익구조개선 등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한편 구조조정 사업이 주목을 받으면서 여러가지 보완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우선 구조조정조합에 참여하는 금융기관들이 단기적인 수익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