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집단폐업이 계속되자 정부는 보건의료발전특별위원회를 14일부터 가동키로 했다.

의료계는 단일 대화창구인 ''비상공동대표 소위원회''를 구성,이번 주초부터 정부와의 협상에 나설 예정이나 약사법 재개정과 구속자 석방 등에 대한 견해차가 커 의.정간의 대화에 난항이 예상된다.

이한동 국무총리는 지난 12일 발표한 ''의약분업 정착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특별담화문''을 통해 14일부터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보건의료발전특별위원회''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의료인들은 즉시 구원의 손길을 기다리는 환자 곁으로 돌아가 달라"고 호소했다.

보건의료발전특위는 산하에 △총괄전문위 △의료인력전문위 △의료정책전문위 △의료보험수가전문위 △약업발전전문위 등 5개의 소위원회를 두고 12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의료보험수가 개선,의대 정원 조정,전공의 제도 개선,의료분쟁조정법 제정,의료전달체계 개선,제약산업 및 약국 발전 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특위가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와 대화에 나서기 위해 의권쟁취투쟁위원회는 지난 12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의쟁투와 전공의 대표,의협 상임이사,전임의,개원의,병원의사,의대교수,의대생 등이 참여하는 소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김도경 기자 infof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