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4일자) 갈수록 확연해지는 성장 둔화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의 경기동향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들이 제기되고 있지만 분명한 사실은 둔화조짐이 갈수록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4분기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을 보면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9.6%로 집계됐다.
그러나 전분기(2000년 1·4분기)대비로는 1.1%에 그쳤다.
우리 경제가 앞으로도 2·4분기와 같은 속도로 성장한다면 연간 성장률이 4.4%에 머물 것이라는 의미다.
이는 경기의 연착륙 등 그럴싸한 해석을 들어 가볍게 보아넘길 사태는 아니다.
어음부도율 등 실물경제에서 대두되고 있는 여러가지 후퇴징후들을 일일이 열거할 필요도 없이 전분기대비 기준으로 지난 99년 2·4분기중 4.1%를 기록한 성장률이 이후 줄곧 하향곡선을 그리면서,그것도 무척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는 점만 주목해 보더라도 심각한 상황으로 인식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최근의 경기정점 통과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큰 의미가 없다.
비록 정점을 지나지않았다 하더라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실물경제 위축현상은 더 이상 방치할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보기 때문이다.
사실 지금 나타나고 있는 실물경제의 애로는 정책의 실패에서 비롯된 면이 적지않다.
금융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자금시장이 마비된지 오래다.
국내경기가 이 정도나마 유지해온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러나 이제는 기업들이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렀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새 경제팀의 등장과 함께 금융산업구조조정의 구체적인 일정들이 공표되는 등 정책불신을 어느정도 해소해 주는 조치들이 나오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하지만 좀더 확고한 정책비전 제시를 통해 금융시장 정상화를 추진함으로써 안정적인 기업활동이 가능하도록 여건을 조성해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급선무다.
특히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금리조정 문제도 실물경제의 흐름에 주목하면서 신중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금리인상은 물가불안이 그 주된 이유다.
그러나 지금의 경제현실에서 과연 금리인상이 물가불안을 예방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지않을수 없다.
물가불안에 대한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국제유가 상승을 비롯 공공요금의 인상 등 비용상승이 주된 요인이란 점을 감안한다면 금리인상 등 총수요억제책으로는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우리경제가 금리인상이 몰고올 주가하락 금융비용 상승 경기후퇴 등을 감수할 여지가 있는지부터 따져보아야 한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4분기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을 보면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9.6%로 집계됐다.
그러나 전분기(2000년 1·4분기)대비로는 1.1%에 그쳤다.
우리 경제가 앞으로도 2·4분기와 같은 속도로 성장한다면 연간 성장률이 4.4%에 머물 것이라는 의미다.
이는 경기의 연착륙 등 그럴싸한 해석을 들어 가볍게 보아넘길 사태는 아니다.
어음부도율 등 실물경제에서 대두되고 있는 여러가지 후퇴징후들을 일일이 열거할 필요도 없이 전분기대비 기준으로 지난 99년 2·4분기중 4.1%를 기록한 성장률이 이후 줄곧 하향곡선을 그리면서,그것도 무척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는 점만 주목해 보더라도 심각한 상황으로 인식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최근의 경기정점 통과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큰 의미가 없다.
비록 정점을 지나지않았다 하더라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실물경제 위축현상은 더 이상 방치할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보기 때문이다.
사실 지금 나타나고 있는 실물경제의 애로는 정책의 실패에서 비롯된 면이 적지않다.
금융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자금시장이 마비된지 오래다.
국내경기가 이 정도나마 유지해온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러나 이제는 기업들이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렀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새 경제팀의 등장과 함께 금융산업구조조정의 구체적인 일정들이 공표되는 등 정책불신을 어느정도 해소해 주는 조치들이 나오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하지만 좀더 확고한 정책비전 제시를 통해 금융시장 정상화를 추진함으로써 안정적인 기업활동이 가능하도록 여건을 조성해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급선무다.
특히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금리조정 문제도 실물경제의 흐름에 주목하면서 신중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금리인상은 물가불안이 그 주된 이유다.
그러나 지금의 경제현실에서 과연 금리인상이 물가불안을 예방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지않을수 없다.
물가불안에 대한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국제유가 상승을 비롯 공공요금의 인상 등 비용상승이 주된 요인이란 점을 감안한다면 금리인상 등 총수요억제책으로는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우리경제가 금리인상이 몰고올 주가하락 금융비용 상승 경기후퇴 등을 감수할 여지가 있는지부터 따져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