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퇴직 정년을 3년 더 연장한 데 이어 추가로 최장 3년을 일할 수 있도록 하는 '탄력적 퇴직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2일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재정부,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는 전날 '탄력적 퇴직제도 잠정 실시 방법'을 발표했다.중국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지난해 9월 법정 정년을 15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연장하는 결정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남성 노동자의 정년은 60세에서 63세로, 여성 노동자는 50세에서 55세로 연장된다. 여성 간부(당정 기관과 국유기업, 공공기관 등의 관리직)는 55→58세로 늘어난다. 전날 발표된 방안은 이와 같은 정년 연장 방식을 구체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보면 중국 노동자와 소속 회사(기관)는 정년이 도달할 때 최장 3년까지 퇴직을 미룰 수 있게 된다. 중국 당정은 "국가가 규정한 월별 기본 양로금(연금) 최저 납부 연한에 도달한 노동자는 탄력적으로 사전 퇴직을 선택할 수 있다"며 "사전 퇴직 기간은 법정 퇴직 연령으로부터 최장 3년을 넘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탄력적 퇴직 실시는 우리나라(중국)의 점진적인 법정 퇴직 연령 연장 개혁의 중요한 내용으로 노동자의 다양한 수요를 맞추고, 서로 다른 일·생활 분배 요구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중국 당정은 1972년 9월 출생한 남성 노동자를 예시로 들었다. 올해부터 점진적으로 적용되는 퇴직 연령 기준에 따라 이 노동자의 정년은 만 62세가 된다.이 노동자가 연금 최소 납부액을 충족했다면 그는 만 60∼62세 사이에 탄력적으로 '사전 퇴직'을 할 수 있다.이
체중 감량 약물의 사용 증가가 올해 설탕 수요 급락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는 미국 소비자들이 간식을 적게 구매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면서 관련 기업과 투자자들 사이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비만 치료제의 주성분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은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해 포만감을 유도, 식욕과 단 음식에 대한 갈망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체중 감소를 유도한다.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가 대표적인 제품이다.2023년 존 퍼너 월마트 미국 부문 최고경영자(CEO)는 "비만약이 출시 이후 장바구니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언급했다. 이후 코카콜라, 펩시코, 몬델리즈인터내셔널 등 주요 식품 기업의 주가가 급락했다. 허쉬 역시 GLP-1 약물의 확산이 매출에 "경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비만약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되면서 설탕 수요 감소 우려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영국 설탕 무역업체 차르니코프의 스티븐 겔다트 분석가는 "GLP-1 약물이 이미 부유한 국가들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약물들이 여전히 비싸기 때문에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이런 상황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국에서는 오는 3월부터 일라이릴리의 비만치료제 '마운자로'가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아 출시될 예정이다.FT는 "만약 가격이 내려가고 접근성이 넓어진다면, 그 영향은 중간소득 국가와 개발도상국에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세계 최대 설탕 소비국인
중국 명문대 석박사 출신 고학력자들이 교사직으로 몰리고 있다. 이는 중국 청년들의 취업난이 반영된 현상으로 풀이된다.2일 중국 지무신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최근 장쑤성 쑤저우 중학교는 2025년도 고급 졸업생 채용자 명단을 발표했다. 이 학교는 박사과정 이수자를 채용한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최근 석사 졸업생도 지원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했다. 석사 졸업생은 최소 3개의 국가 장학금을 받았거나 고등학교 재학 중 전국 올림피아드에서 3위 이내 입상한 경우 지원이 가능하다. 이번 채용을 통해 총 13명이 합격했다. 이 가운데 6명은 칭화대 졸업생, 4명은 베이징대 졸업생으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이 박사인 신규 임용자는 8명에 달했다. 쑤저우는 재정이 비교적 튼튼해 처우가 다른 곳보다 좋다고 알려져 고학력자들이 몰리곤 한다. 지방 교육당국은 신규 임용자에게 부동산 보조금, 정착 보조금 등을 지급해 인재를 유치하고 있다. 중국 사회 일각에선 청년 취업난으로 학력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면서 나타난 결과라는 해석도 나온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