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창업 A to Z] '벤처기업 자금조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회훈 < 이커뮤니티 대표 >
벤처기업은 전통적인 기업과는 카가는 방식이 다르다.
전통적인 기업은 제품을 연구개발해 대량생산 및 판매를 통해 이익을 낸다.
또 주식을 상장하는 동안 주로 차입경영에 의한 성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벤처기업은 비즈니스 모델을 먼저 개발해 이를 함께 키울 파트너십을 확보하고 단계별로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다.
이 돈으로 제조.개발.마케팅 등에 자원을 투입, 회사가치를 극대화하는 자기자본 위주의 성장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이러한 벤처기업의 성장과정에서는 투자 유치가 단계별로 기업을 검증하며 기업을 키우는 젖줄을 제공한다.
따라서 경영자들은 단계마다 촉각을 곤두세운다.
기업공개나 인수합병 등 이전에 대개 서너차례 투자자금을 모집하게 되는 벤처기업의 경우 성장단계별 자본의 사용용도와 규모가 달라 시기별로 서로 다른 주체들로부터 자금을 공급받는 일이 보통이다.
자금 규모면으로 보면 사업 초기단계에는 소규모 자본만이 필요하다.
점차 사업이 확장됨에 따라 마케팅, 제품의 대량생산 등으로 인해 대규모 운영자산이 필요해진다.
또 시기별로 볼 때 사업초기에는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대단히 높은 반면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를수록 성공가능성이 높아진다.
벤처기업에 제공되는 자금은 자금 규모와 공급주체에 따라 그 성격이 판이하게 다르다.
대체로 엔젤자금, 전략적 투자자들의 자금, 그리고 벤처캐피털이나 기타 기관들의 자금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성공가능성이 불투명한 사업초기에는 보통 창업자의 지인들에 의해 제공되는 엔젤자금이 주요한 자금 원천이다.
엔젤자금은 사업의 기반을 닦는데 필요한 정도면 되므로 적은 규모가 보통이다.
전략적 투자자들이란 벤처기업의 부품업체나 수요업체 등 벤처기업의 사업파트너이거나 부족한 기술이나 마케팅을 보완해 주어 시너지효과를 발생시키는 업체다.
이는 단순히 투자자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제조, 유통, 원재료 조달 등 사업적 측면에서 자기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이루며 파트너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사업이 정상궤도에 올라 마케팅이나 시설투자 등에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단계에는 자본이득(Capital Gain) 자체가 사업의 본래 목적인 벤처캐피털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대체로 사업단계별로 엔젤자금, 전략적 투자자의 자금, 벤처캐피털의 자금 순으로 투자자금을 공급받는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순서는 뒤바뀔 수도 있다.
벤처기업이 투자자금을 모집할 때 사업의 시기와 규모에 맞게 투자자금을 모집해야 한다는 점 외에 주의해야 할 일은 사업에 기여한 정도에 맞게 지분을 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창업주가 부족한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지분을 쉽게 내주다보면 일정 시점 이후 대주주 지분이 지나치게 적게 되어 경영권 행사에 어려움을 겪을 수가 있다.
지분을 충분히 확보하면 안정적인 경영권 행사 외에도 전략적 제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경영전략을 펼칠 수 있다.
다른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을 때 대주주가 지분을 넉넉히 갖고 있지 않다면 의사결정 자체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투자자금이 무조건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초과 자금공급은 지나친 지분제공, 불필요한 자금관리인력 등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특히 사업초기에 지나치게 많은 자금이 조달되는 것은 초기단계에 필요한 헝그리정신을 약화시켜 "사업에의 열정"이라는 중요한 자산을 상실시킬 수 있다.
특히 투자유치 또는 기업공개를 사업의 성공으로 확대 해석하며 회사가 영업으로 돈을 번 것과 똑같이 생각하고 사업을 게을리하는 경영자는 자기를 믿고 기업을 더 키워 수익을 돌려 달라고 투자한 투자자들의 믿음을 저버리는 사람이다.
hchung@ecommunity.co.kr
벤처기업은 전통적인 기업과는 카가는 방식이 다르다.
전통적인 기업은 제품을 연구개발해 대량생산 및 판매를 통해 이익을 낸다.
또 주식을 상장하는 동안 주로 차입경영에 의한 성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벤처기업은 비즈니스 모델을 먼저 개발해 이를 함께 키울 파트너십을 확보하고 단계별로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다.
이 돈으로 제조.개발.마케팅 등에 자원을 투입, 회사가치를 극대화하는 자기자본 위주의 성장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이러한 벤처기업의 성장과정에서는 투자 유치가 단계별로 기업을 검증하며 기업을 키우는 젖줄을 제공한다.
따라서 경영자들은 단계마다 촉각을 곤두세운다.
기업공개나 인수합병 등 이전에 대개 서너차례 투자자금을 모집하게 되는 벤처기업의 경우 성장단계별 자본의 사용용도와 규모가 달라 시기별로 서로 다른 주체들로부터 자금을 공급받는 일이 보통이다.
자금 규모면으로 보면 사업 초기단계에는 소규모 자본만이 필요하다.
점차 사업이 확장됨에 따라 마케팅, 제품의 대량생산 등으로 인해 대규모 운영자산이 필요해진다.
또 시기별로 볼 때 사업초기에는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대단히 높은 반면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를수록 성공가능성이 높아진다.
벤처기업에 제공되는 자금은 자금 규모와 공급주체에 따라 그 성격이 판이하게 다르다.
대체로 엔젤자금, 전략적 투자자들의 자금, 그리고 벤처캐피털이나 기타 기관들의 자금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성공가능성이 불투명한 사업초기에는 보통 창업자의 지인들에 의해 제공되는 엔젤자금이 주요한 자금 원천이다.
엔젤자금은 사업의 기반을 닦는데 필요한 정도면 되므로 적은 규모가 보통이다.
전략적 투자자들이란 벤처기업의 부품업체나 수요업체 등 벤처기업의 사업파트너이거나 부족한 기술이나 마케팅을 보완해 주어 시너지효과를 발생시키는 업체다.
이는 단순히 투자자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제조, 유통, 원재료 조달 등 사업적 측면에서 자기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이루며 파트너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사업이 정상궤도에 올라 마케팅이나 시설투자 등에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단계에는 자본이득(Capital Gain) 자체가 사업의 본래 목적인 벤처캐피털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대체로 사업단계별로 엔젤자금, 전략적 투자자의 자금, 벤처캐피털의 자금 순으로 투자자금을 공급받는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순서는 뒤바뀔 수도 있다.
벤처기업이 투자자금을 모집할 때 사업의 시기와 규모에 맞게 투자자금을 모집해야 한다는 점 외에 주의해야 할 일은 사업에 기여한 정도에 맞게 지분을 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창업주가 부족한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지분을 쉽게 내주다보면 일정 시점 이후 대주주 지분이 지나치게 적게 되어 경영권 행사에 어려움을 겪을 수가 있다.
지분을 충분히 확보하면 안정적인 경영권 행사 외에도 전략적 제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경영전략을 펼칠 수 있다.
다른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을 때 대주주가 지분을 넉넉히 갖고 있지 않다면 의사결정 자체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투자자금이 무조건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초과 자금공급은 지나친 지분제공, 불필요한 자금관리인력 등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특히 사업초기에 지나치게 많은 자금이 조달되는 것은 초기단계에 필요한 헝그리정신을 약화시켜 "사업에의 열정"이라는 중요한 자산을 상실시킬 수 있다.
특히 투자유치 또는 기업공개를 사업의 성공으로 확대 해석하며 회사가 영업으로 돈을 번 것과 똑같이 생각하고 사업을 게을리하는 경영자는 자기를 믿고 기업을 더 키워 수익을 돌려 달라고 투자한 투자자들의 믿음을 저버리는 사람이다.
hchung@ecommunit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