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건설업] (2) '업계 부양대책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택업체들은 우선 신도시를 개발하자고 요구하고 있다.
전국에서 아파트가 건립되는 땅의 60%정도는 준농림지다.
하지만 준농림지 용적률제한 등으로 아파트를 지을 땅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난개발을 피하고 결혼 등으로 생기는 신규 아파트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신도시개발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턱없이 부족한 일감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신도시를 개발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한다.
또 신도시 개발이 전반적인 시장분위기를 살리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소주택건설업체들은 주택관련 세금부담을 줄여달라고 주장한다.
부동산 투기방지 목적으로 부과되는 양도소득세를 폐지하자는 것이다.
지난해말 기준 주택보급률이 93.3%에 달하고 미분양주택도 7만가구정도 쌓여 있어 주택은 더이상 투기대상이 아니라는 것이 양도소득세 폐지주장의 논리다.
주택을 구입할때 내야하는 취득세 등록세의 감면범위를 확대해주면 신규 주택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업계 스스로도 환골탈태의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시장환경이 바뀌었는데도 "아파트를 짓기만 하면 팔린다"는 구태의연한 경영으론 소비자를 끌어들일 수 없다는 반성의 목소리다.
전국에서 아파트가 건립되는 땅의 60%정도는 준농림지다.
하지만 준농림지 용적률제한 등으로 아파트를 지을 땅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난개발을 피하고 결혼 등으로 생기는 신규 아파트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신도시개발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턱없이 부족한 일감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신도시를 개발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한다.
또 신도시 개발이 전반적인 시장분위기를 살리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소주택건설업체들은 주택관련 세금부담을 줄여달라고 주장한다.
부동산 투기방지 목적으로 부과되는 양도소득세를 폐지하자는 것이다.
지난해말 기준 주택보급률이 93.3%에 달하고 미분양주택도 7만가구정도 쌓여 있어 주택은 더이상 투기대상이 아니라는 것이 양도소득세 폐지주장의 논리다.
주택을 구입할때 내야하는 취득세 등록세의 감면범위를 확대해주면 신규 주택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업계 스스로도 환골탈태의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시장환경이 바뀌었는데도 "아파트를 짓기만 하면 팔린다"는 구태의연한 경영으론 소비자를 끌어들일 수 없다는 반성의 목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