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금융시장은 기업 및 금융권 부실정리가 미진할 경우 올해와 같은 신용경색이 재발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따라서 정부는 금융시장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경기의 급격한 냉각을 막아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31일 한국경제신문 다산홀에서 열린 "2001년 경제전망 및 기업의 대응" 세미나의 토론내용을 요약한다.


◆ 김준일 한국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번 전망 결과는 금년 하반기 이후 금융과 기업부문에 대한 구조조정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현 단계에서의 내년도 경제전망은 구조조정의 진전여부와 직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책당국과 시장참여자들은 금융.기업부문의 부실,성장의 수출의존도 심화 등에 대한 전망에서 지적된 경제 불안요인들에 대해 특히 주목해야 한다.

또 거시경제정책 수단의 신축성을 조속히 확보해야 한다는 차원에서도 신속한 구조조정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 이근경 재정경제부 차관보 =정부는 예정대로 하반기중 구조조정을 강력히 추진할 것이다.

따라서 내년에는 우리 경제가 안정 속에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며 경기의 급속한 하강은 없을 것으로 믿는다.

지금은 세계적인 기술혁신기로 경제성장 교역량증가 등이 뒤따르고 있어 우리 수출도 호조를 보일 것이다.

내년 경제성장률을 6∼7%대로 가정하면 경상수지는 60억달러 수준은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

◆ 최운열 한국증권연구원 원장 =금융구조조정 과정에서 예금부분보장제 도입으로 자금이 주로 소매금융업을 취급하는 우량은행과 체신예금으로 이동, 기업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예금보장 한도를 상향조정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금융구조조정 이후 신용경색이 당분간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에는 찬성하기 어렵다.

현재 신용경색의 주원인은 금융부문보다는 기업부문에 있으므로 성공적인 기업구조조정이 필수적이다.

개별기업들은 신용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수립이 급선무다.

부채비율에 신경쓸 것이 아니라 부채규모 자체를 과감히 줄여야 한다.

◆ 최흥식 한국금융연구원 부원장 =정부는 현재의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기가 외부요인으로 침체에 빠질 경우 거시경제정책 수단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 연착륙을 위해 미조정(fine-tuning)된 경제정책이 필요하다.

금융기관 내에서만 단기부동화하고 있는 시장유동성을 단기금리의 탄력적 운용으로 장단기 금리차를 해소해 조절해야 한다.

내년도 3%대의 물가상승은 우리 경제가 충분히 견뎌낼 수준으로 판단된다.

경기 둔화로 기업들의 자금수요가 크지 않고 경제성장률도 하락해 금리인상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